국내 이동통신 3사가 스마트폰 이용자의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인 '4~5GB'(기가바이트) 관련 요금제를 쏙 빼놓고 그보다 데이터 제공량이 적거나 많은 요금제만 취급, 상위 제품 이용을 유도하는 꼼수 마케팅을 일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가입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이동통신사 멤버십 포인트의 존재 및 사용처는 매장에서 전혀 안내하지 않고 있었다. 이통사가 소비자를 외면한 채 회사 이익 챙기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LTE 스마트폰 가입자당 평균 사용량은 2012년 1월의 1천515MB(메가바이트)보다 3배가량 늘어난 4천660MB로 집계됐다. 가입자들이 월평균 4.5GB가량의 데이터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이통 3사와 주요 알뜰폰 사업자들이 일제히 음성 및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한 것이 계기가 됐다. 미래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스마트폰을 활용한 무선데이터 사용 콘텐츠 소비 유형으로는 SNS나 포털사이트, 유튜브 등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의 클립(조각) 동영상 시청의 비중이 57.6%로 가장 높았다.
◆이통3사 및 알뜰폰 사업자들, 평균 데이터 사용량 고려한 요금제 없어
그러나 이통 3사 모두가 지난해 출시한 LTE데이터중심 요금제 가운데 4~5GB 구간의 요금제를 전혀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데이터중심 요금제는 전화'문자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대신 기본 데이터 제공량에 따라 기본요금을 달리 책정한 요금제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정보 소비 패턴이 전화'문자에서 데이터 통신으로 옮겨가자 데이터중심 요금제 가입자도 덩달아 급증, 올해 해당 요금제 가입자만 1천700만 명을 넘어섰고, 이는 고스란히 이통사의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증가에 이바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통사들은 소비자 평균 소비 행태와 맞지 않는 요금제만을 제공, 과소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데이터중심 요금제인 데이터 선택 299'349'399'449'499'599'699'999 등 요금제에 대해 각각 300MB, 1GB, 2GB, 3GB, 6GB, 10GB, 15GB, 30GB의 기본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저가 요금제 구간에서 데이터 제공량이 1GB씩 증가하는 것과 달리 '데이터 선택 449요금제'(3GB)와 '데이터 선택 499요금제'(6GB) 사이에는 데이터 사용량 3GB, 기본요금 5천원이 차이 난다. 이후로 4GB, 5GB, 15GB씩 늘어난다.
KT뿐만 아니라 SK텔레콤, LG유플러스, 알뜰폰 업체인 CJ헬로모바일과 이지모바일 등도 모두 데이터 제공량이 4~5GB대인 요금제를 전혀 운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이통사 관계자는 "3GB대 요금제와 6GB대 요금제는 단 5천원이 차이 난다. 이 사이에 4GB나 5GB 요금제를 추가하는 것이 오히려 비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 기만하는 상위 제품 판매 유도 안 돼"
소비자단체는 이 같은 마케팅이 '전형적인 상위 제품 판매 유도'라며 비판하고 있다.
월평균 4GB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가입자는 월 데이터 제공량이 4GB 미만인 요금제를 사용하며 데이터 소모량을 줄이든지, 반대로 월 데이터 제공량이 5GB를 초과하는 요금제를 사용하며 데이터를 남겨야 한다. 이때 많은 경우 가입자들은 데이터 소모량을 줄이는 대신 데이터 사용량이 넉넉한 요금제를 선택하고 그만큼 더 많은 데이터를 소비하기 시작하는데, 그러다 데이터 소비 패턴이 바뀌고 데이터 소모량이 늘면 다시 요금제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경북소비자연맹 관계자는 "기본요금이 5천원 비싸지면 실제로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해 5천500원을 더 내야 한다. 소비자의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하는 세분화한 요금제가 필요하다"며 "지금처럼 선택의 폭이 제한된 요금제 때문에 데이터 사용량이 평균 수준인 대다수 소비자는 불필요한 과소비를 할 수밖에 없다. 특히 요금제 선택에 둔감한 노인 소비자는 고스란히 손해를 입고 만다"고 말했다.
해당 관계자는 또 "이통 3사가 모두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멤버십 포인트 등은 안내하지 않거나 지원을 줄이는 등 이익 챙기기에만 급급하다. 기업은 소비자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하며 소비자로부터 이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