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성 1호기 지진 사고 땐 경주 6만명 사망"

환경운동연합 모의실험 '충격'…대구로 바람불면 3만 명 사망

5일 오후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이 전국 가동 원전의 절반을 안고 있는 경북 도민들은 물론, 대구 시민들에게 큰 공포를 던지고 있다. 전국 24기 원자력발전소 가운데 12기가 몰려 있는 경북 동해안 부근 강진은 대구경북 전체를 초토화할 만큼 엄청난 피해를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지진은 1978년 전국 단위 지진 관측이 시작된 이후 역대 공동 5위 수준의 강한 규모인데다 1980년 이후 내륙에 가장 가깝게 붙어 발생했다는 점에서 충격을 줬다. 규모 5.0 지진의 충격파는 TNT 폭약 약 3만2천t을 터뜨리는 것과 비슷한 충격 에너지를 가질 정도로 강력하다.

이런 가운데 후쿠시마 원전 피해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는 지역민들은 전국 최다 원자력발전소를 위협으로 느끼고 있다.

환경운동연합과 경주핵안전연대 등이 진행한 월성1호기 사고 피해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지진에 의한 원전 사고 직후 경주로 바람이 불면 경주권 사망 6만 명, 만성장애 23만 명, 경제적 피해 470조원이 예상된다. 바람이 대구로 향하면 대구권 사망 3만 명, 만성장애 12만 명, 경제적 피해 779조원, 포항 쪽으로 바람이 불면 포항권 사망 2만 명, 만성장애 9만 명, 경제적 피해 252조원이 예측됐다.

이처럼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지만 원전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과 정부는 "지진이 일어날 확률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진이 일어나도 원전설계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또다시 영덕에 추가 원전 건설 계획을 밀어붙이고 있다.

6일 영덕핵발전소반대 범군민연대는 성명서를 내고 지진 등 자연재해에 따른 원전 안전 대책,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에 대한 한수원'정부의 근거 없는 자신감을 강력하게 비난했다. 또 울산의 무소속 윤종오'김종훈 국회의원은 논평을 통해 "월성'고리원전 해양단층 정밀조사를 당장 시작하고 조사결과가 나올 때까지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경주경실련과 경주환경운동연합도 6일 "울산 지진을 계기로 월성1호기와 경주방폐장 안전대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