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수원 "원전 안전"…시민단체 "해명 못 믿겠다"

'월성원전 지진 땐 경주시민 6만 명 사망 모의실험' 반박 해명 논란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이하 월성원전) 1호기에 지진 피해가 발생하면 경주시민 6만 명 사망 등 엄청난 인적'경제적 피해가 올 수 있다는 시민사회단체들의 모의실험 결과(본지 7일 자 1면 보도)와 관련,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7일 '잘못된 내용'이라는 요지의 해명자료를 내며 반박했다.

하지만 시민사회단체들은 물론, 원전 지역 주민들도 "체르노빌'후쿠시마 사고 사례처럼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것이 원전인 만큼 한수원의 '무조건 안전하다'는 말은 믿을 수 없다"며 안전 대책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한수원 해명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원전은 단단한 암반 위에 시공된 데다 내진설계를 엄격히 적용, 규모 6.5~7.0의 지진을 견딜 수 있다. 또 지진자동정지설비를 통해 지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지진 발생에 따른 원전 사고는 논리 비약이라고 주장했다.

월성 1호기 사고를 가정한 수치는 일본의 원전 사고 피해 규모를 전제로 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일본 원전 사고 때 외부로 방출된 총방사능량이 동일하게 국내 원전 사고 때 방출된다고 가정한 모의실험 결과는 피해 규모를 과도하게 키운 측면이 있다고 했다.

하지만 원전 주변 대다수 주민들은 "신뢰할 수 없다"는 목소리를 이어가고 있다.

경주'울진 등 민간환경감시기구 등에 따르면 신울진원전 1, 2호기 기반공사 당시 원자로 설치 위치가 지진에 취약한 연약지반으로 알려져 주민들에게 충격을 줬다. 당시 한수원 측은 연약지반 문제가 발생하자 원자로를 당초 계획에서 바다 방향으로 50m 이동해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에게는 알리지 않아 큰 비난을 샀다.

주민들은 "원전 부지 일대가 연약지반이라면 건설을 중단해야 하지만 중앙정부가 앞뒤 안 가리고 밀어붙였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경북도의회 황이주 도의원(울진)은 "사전 지질조사 때 몰랐다는 게 문제다. 또 이를 50m가량 옮긴다고 안전이 담보될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지역민들의 눈을 가리고 '너희는 아무것도 모르고 우리만 전문가'라는 정부의 원전 정책에 분노를 느낀다"고 했다.

울진원전뿐만 아니다. 신월성 1, 2호기도 연약한 지반 문제 등으로 40m가량 옮겨 건설했고, 이 역시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았다.

지진감지기 역시 후쿠시마 사고 이후 보완된 설비라는 점에서 한수원의 '사후약방문'식 안전 대책이 이어진다는 지적도 많다.

실제로 2004년 울진 동쪽 80㎞ 떨어진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5.2 강진을 울진원전 지진감지기는 잡아내지 못했다. 울진원전 측은 지진감지 설정치를 0.02g(지진 4.6 규모)로 맞춰놔 감지가 어려웠다고 했다.

2007년 1월 20일 강원도 오대산에서 규모 4.8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도 한울원전 3, 4호기의 지진감지기는 작동하지 않아 주민들을 불안하게 했다.

이에 한수원은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내진설계 수준을 6.5~7.0으로 높인 뒤 "이 규모 이상의 지진은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예측만 쏟아내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