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 시·군의회 의장단 선거 잡음, 초심으로 자정할 때

7월 들어 경북지역 시'군 기초의회의 후반기 2년을 이끌 의장단 선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초의원들끼리 서로 자리를 나누거나 미리 내정하는 등 온갖 비민주적 일탈이 빚어지면서 반목과 갈등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1991년 다시 도입돼 벌써 25년의 연륜을 맞았음에도 이들 기초의회 의장단 구성 과정이 민주적 절차마저 무시되는 등 여전히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영덕군 의회는 후반기 임기 시작 10일이 지나도록 아직 의장단 선출을 위한 임시회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국회의원의 개입설로 전반기 군의회 의장이 의장 선출 의안의 상정을 거부한 탓이다. 특히 국회의원 친구인 군의원을 비롯해 의장을 노리는 의원들은 과거 뇌물수수 전력, 절도사건 연루 등 도덕성과 자질 문제도 적잖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연 주민을 대표하여 집행부를 제대로 견제하고 의회를 이끌 자격은 갖췄는지 의심스럽다.

경산시 의회도 파행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당초 다수당인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이 의장단을 미리 내정하는 불공정 담합행위를 저질렀다. 당연히 정견 발표나 경선과 같은 민주적 절차 과정은 처음부터 무시됐다. 이에 대한 반발로 그나마 표결에서 의장 내정자를 떨어뜨렸지만 의회 이미지를 스스로 훼손한 것은 변함없다. 청도군 의회 역시 의장 선거를 둘러싸고 새누리당의 개입설과 후반기 2년 임기 의장의 1년씩 번갈아 맡기와 같은 거래설이 오가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드러냈다. 이 밖에 성주군과 봉화군, 청송군 등 경북지역 여러 곳의 기초의회도 의장단 구성을 둘러싸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치부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하나같이 성년답지 못한 기초의회의 한심한 민낯이다. 기초의회 폐지 이야기가 숙지지 않고 나오는 까닭이다. 오로지 주민을 위해 일하겠다던 출마 당시의 각오는 온데간데없다. 당선을 위해 거짓 구호를 외쳤음을 스스로 고백한 것과 같다. 감투 욕심만 가득하다. 실망스러운 여의도 국회 모습의 판박이일 뿐이다. 후반기를 맞은 시'군의회의 깊은 자정(自淨)을 촉구한다. 아울러 정당과 국회의원의 개입은 사라져야 한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어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