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전격적으로 이뤄진 박근혜 대통령의 '대구공항-K2 공군기지' 통합 이전 약속은 영남권 신공항 선정 과정에서 돌아선 대구경북(TK) 민심 달래기용 '선물'로 해석되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나면서 박 대통령은 정치적 고향이자 여권의 전통적인 텃밭인 TK의 들끓는 민심 이반을 경험했다. 잔뜩 화가 나 있는 TK에 지역의 염원인 대구공항 통합 이전이란 후속 대책을 안김으로써 지역 현안 해결에 의지를 보여 준 것. 박 대통령이 이를 통해 민심을 보듬고 지지층 재결집에 나서 집권 후반기 국정 동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보수층 결집을 통한 차기 정권 잇기에 포석을 둔 것이라는 해석이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사드 부지 선정을 놓고 후보지로 거론된 지역에서 우려와 반발이 거센 시점이란 점에서 약간은 다른 해석도 나온다. 대구공항 통합 이전이 논쟁에 휩싸인 사드 배치와 패키지로 묶일 것인지, 아닌지는 정치권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큰 관심사다.
사드 배치 지역을 결정했다고 국방부가 발표한 만큼 패키지로 묶일 경우다. 이는 대구공항 통합 이전의 선물 보따리에 사드 배치를 끼워 넣음으로써 사드 배치에 따르는 TK의 반발을 줄여보겠다는 의도로 읽히게 된다.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아무런 보상 없이 사드 배치까지 할 경우 TK 민심은 그야말로 폭발할 지경에 이르기 때문이다.
후보 거론지 중 경북 지역이 제외되는 비패키지 경우다. 후보지를 결정한 정부가 신공항 백지화에 대구공항 통합 이전을 선물했듯 사드 배치 지역에도 이 같은 후속 보상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 심기' 포석에 힘이 실리게 된다.
현재 경기 평택과 오산, 충북 음성, 강원도 원주, 전북 군산, 경남 양산 등이 사드 배치 지역으로 거론 중이며 이들 지역은 경북의 거센 항의만큼이나 사드 배치 결사반대를 외치고 있다.
이 같은 추측에 대해 한민구 국방장관은 11일 부지 선정 과정에 "정치적 고려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보고에서 "사드 배치 부지는 군사적 요구를 충족하는 곳이 선정될 것"이라며 "오직 군사적 효용성과 작전 가용성, 부지의 가용성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사드 배치 부지 선정도 군사적 효율성 보장과 더불어 지역 주민들이 전자파의 영향을 포함한 문제로부터 안전과 건강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부지를 선정할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정부를 믿고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유승민 새누리당 국회의원은 "박 대통령의 대구공항 통합 이전 방침을 환영한다"며 "이전하는 공항 입지에 고속도로나 경전철 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명실상부한 제대로 된 국제공항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점과 공군기지로서 전략적 기능을 할 수 있는 지역을 입지로 선정해야 한다는 과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