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군(K2 공군기지)과 민간이 함께 사용하는 대구공항 통합 이전 의지를 공식화하면서 경상북도 내 지방자치단체 간 유치전이 벌써 가시화하고 있다. 현재는 군위'의성, 예천'안동의 2파전 모양새다.
이들 지자체가 전투기 소음 등 기피 시설로 낙인찍힌 군 공항을 함께 끌어안겠다는 가장 큰 이유는 '지역 경제 살리기'다. 군 공항뿐만 아니라 민간 공항 통합 이전을 통해 산업 발전 및 기업 유치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유치 과정에서 풀어나가야 할 숙제도 쌓여 있다. 무엇보다 지역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야 한다. 군 공항 이전의 가장 큰 과제가 반대 주민을 설득하는 것.
대구경북 지자체들은 대구공항의 경북 지역 통합 이전의 성패 여부는 결국 '주민 여론'에 달려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군위'의성으로 가나?
대구공항 경북 이전과 관련, 군위군은 11일 긴급 보도자료를 내고 의성군과 인접한 소보면 일대에 대구공항을 유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으로 대구공항 유치와 관련해 지리적으로 인접한 의성군과 긴밀히 협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의성군도 대구공항 이전 발표가 나오자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의성군은 과거 신도청 후보지였던 안계평야 일대에 대구공항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넓은 부지에 땅값이 싼 데다 중앙고속도로와 상주-영덕 간 동서4축고속도로 개설에 따른 서의성나들목 등 신설로 교통 인프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서의성나들목에서 신도청까지 15분 거리에 있어 대구시와 신도청을 아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천'안동으로 가나?
비용 문제와 주민투표 등을 감안하면 예천'안동 일대 역시 유력한 후보지다. 예천군 개포'유천'용문면 일대에는 이미 공군 제16전투비행단이 자리 잡고 있다. 지역 여론도 호의적이다. 예천군에 따르면 지난 2014년 '2020 웅비예천 종합발전 계획' 용역을 의뢰한 결과, 주민 70%가 K2 공군기지 예천 이전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은 '예천이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며 유치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경원 안동상공회의소 회장은 "안동을 비롯해 북부권 경제인들은 그동안 꾸준히 예천공항 재개항을 제기해 왔다. 특히, 신도청시대를 맞아 도청 하늘길을 여는 문제가 더욱 중요하게 대두하면서 예천공항 재개항은 지역 발전을 가속화할 최대 현안으로 급부상했다"며 "안동 상공인들은 K2, 대구공항 통합 이전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건은 지역 여론이다
문제는 반대 목소리다. 기존 전투기 소음보다 몇 배나 큰 대형 전투기 소음으로 인해 지역민들이 고통에 시달릴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영천과 포항, 경주 등 시가지를 형성한 지역에서는 대구공항 통합 이전에 부정적이거나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대구 동구 주민들의 소음으로 인한 고통을 다른 지역 주민이 또 겪게 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반면 기업인들은 "국제노선을 확충하고 현재 대구공항보다 규모가 큰 명실상부한 공항이 들어설 경우, 기업하기에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통합 이전 추진 과정에서도 지역 주민 찬반 여부가 이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국방부가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면 예비 이전 후보지(지자체)는 주민투표를 실시해야 한다.
이후 국방부 선정위원회가 지자체 주민투표 결과를 반영해 최종 이전지를 선정한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결국 주민 찬성률이 유치 성패를 가를 것"이라며 "유치 과정에서 지자체 간은 물론, 지역 주민 간 진통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