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이 명실상부한 대구경북 거점 공항으로 건립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K2의 경우 어차피 정부 재정 지원과 상관없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되지만 이전 대구공항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K2 이전 계획에 따르면 새로 이전할 부지 면적은 현재 기지 면적(K2+대구공항) 6.7㎢의 2.3배에 달하는 15.3㎢(463만 평)로 이 가운데 3.6㎢(110만 평)는 시설이나 부지 조성 등 계획이 전혀 없는 부지여서 민간 공항의 규모를 계획하는 대로 넓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대구공항의 면적이 0.17㎢(5만2천 평)인 것을 감안하면 원형지로 유지될 계획인 3.6㎢ 부지엔 국제선과 국내선을 구분해 청사를 짓고 계류장, 주차장 등 시설을 얼마든지 지을 수 있어 중장거리 노선이 오갈 수 있는 거점 공항으로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활용 가능 부지가 넓은 것은 물론 K2와 함께 이전하기 때문에 활주로도 3.2㎞나 3.8㎞ 등 중'대형 항공기가 이착륙 가능한 길이와 폭을 만들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이를 위해선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대구공항이 K2와 함께 옮겨가면서 발생하게 된 추가 비용은 물론 대구공항 확장 이전에 따른 비용 등은 통합이전을 제시한 정부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군 공항인 K2만 이전할 경우 도심에서 떨어져 있는 땅값이 싼 곳으로 갈 수 있지만 민간 공항과 함께 이전하게 되면서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입지를 정할 수밖에 없고 상대적으로 부지매입비도 훨씬 더 필요하게 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군 공항과 함께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대구 신공항을 거점 공항으로 만들 수 있는 여지도 생겼다. 어차피 이전하게 된 만큼 중장거리 국제 노선도 오갈 수 있는 제대로 된 거점 공항으로 건설해야 한다"며 "미래를 위한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부지가 넉넉한 만큼 활주로, 계류장, 주차장 등을 충분히 조성하고, 미래 확장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