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간공항과 함께 이전, 추가 비용 국비서 지원해야

3.6㎢ 여유 부지에 중·대형 활주로 조성 가능…통합이전 제시한 정부가 부담할 몫 커져

대구공항이 명실상부한 대구경북 거점 공항으로 건립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K2의 경우 어차피 정부 재정 지원과 상관없는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되지만 이전 대구공항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K2 이전 계획에 따르면 새로 이전할 부지 면적은 현재 기지 면적(K2+대구공항) 6.7㎢의 2.3배에 달하는 15.3㎢(463만 평)로 이 가운데 3.6㎢(110만 평)는 시설이나 부지 조성 등 계획이 전혀 없는 부지여서 민간 공항의 규모를 계획하는 대로 넓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대구공항의 면적이 0.17㎢(5만2천 평)인 것을 감안하면 원형지로 유지될 계획인 3.6㎢ 부지엔 국제선과 국내선을 구분해 청사를 짓고 계류장, 주차장 등 시설을 얼마든지 지을 수 있어 중장거리 노선이 오갈 수 있는 거점 공항으로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활용 가능 부지가 넓은 것은 물론 K2와 함께 이전하기 때문에 활주로도 3.2㎞나 3.8㎞ 등 중'대형 항공기가 이착륙 가능한 길이와 폭을 만들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이를 위해선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대구공항이 K2와 함께 옮겨가면서 발생하게 된 추가 비용은 물론 대구공항 확장 이전에 따른 비용 등은 통합이전을 제시한 정부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군 공항인 K2만 이전할 경우 도심에서 떨어져 있는 땅값이 싼 곳으로 갈 수 있지만 민간 공항과 함께 이전하게 되면서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입지를 정할 수밖에 없고 상대적으로 부지매입비도 훨씬 더 필요하게 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군 공항과 함께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대구 신공항을 거점 공항으로 만들 수 있는 여지도 생겼다. 어차피 이전하게 된 만큼 중장거리 국제 노선도 오갈 수 있는 제대로 된 거점 공항으로 건설해야 한다"며 "미래를 위한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부지가 넉넉한 만큼 활주로, 계류장, 주차장 등을 충분히 조성하고, 미래 확장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