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 6천만원, 은 3천만원, 동 1800만원…문체부 포상금

지구촌 최고 스포츠 축제인 올림픽 무대에서 금메달을 목에 거는 것은 선수 개인은 물론 선수를 길러낸 국가에도 큰 영광이다.

다만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따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따로 주는 상금은 없다. 이 때문에 각국 올림픽위원회는 저마다 포상금을 내걸고 선수들의 '땀의 결실'을 축하해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올림픽에서 메달을 딴 선수들에게 국가 차원에서 포상금을 지급했다.

올림픽 금메달 포상금은 선수 기준으로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당시 1만달러,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2만달러,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5천만원,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6천만원을 지급했다. 은메달은 금메달 포상금의 50%를 지급했고, 동메달은 금메달 포상금의 30% 수준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앞두고 지난 2월 포상금 규모를 발표했는데 2012년 런던 대회와 변동이 없다. 금메달을 획득하는 선수는 6천만원을 받고, 은메달은 3천만원, 동메달은 1천8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금메달을 목에 걸면 문체부 포상금만 있는 게 아니다. 선수들이 대부분 아마추어인 만큼 각 선수가 소속된 연맹이나 협회는 물론 소속팀과 소속팀을 후원하는 기업체 등에서 주는 포상금이 덤으로 들어온다. 또 메달에 따른 연금도 주어지고, 병역을 마치지 않은 남자 선수에게는 병역 특례의 '선물'도 따라온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올림픽에 나서는 다른 나라들도 리우 올림픽 개막이 다가오면서 저마다 포상금으로 선수들의 '메달 의욕'을 고취하고 있다.

일본올림픽위원회(JOC)는 금메달리스트에게 500만엔(약 5천400만원)의 포상금을 주기로 했다. 또 은메달은 200만엔, 동메달은 100만엔을 선수들에게 주기로 했다.

말레이시아는 최근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에게 50억루피아(4억3천500만원)의 포상금과 매달 200만루피아(174만원)의 연금을 책정했다. 수도 자카르타 노동자의 최소 월급이 235달러(약 27만원)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로또 당첨'이나 마찬가지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