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탄도미사일 발사는 사드 타격 훈련"

북한은 19일 스커드와 노동미사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한 것에 대해 유사시 남한으로 전개되는 미군 증원전력을 선제타격하기 위한 훈련이었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방송은 20일 "조선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들의 탄도로케트(탄도미사일) 발사훈련이 진행됐다"면서 "이번 발사훈련은 미제의 핵전쟁장비들이 투입되는 남조선 작전지대 안의 항구, 비행장들을 선제타격하는 것을 모의하여(목표로) 사거리를 제한하고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스커드-C(화성-6호) 2발과 노동미사일(화성-7호) 1발을 발사한 것은 유사시 경북 포항과 부산항, 김해공항 등으로 들어오는 미군 증원전력을 선제타격하는 훈련이었다는 것이다. 한미는 한반도에 전쟁 발발 징후가 있으면 미국 본토와 주일미군 기지에 있는 증원전력을 이들 항구와 공항으로 단계적으로 투입하도록 작전계획에 명시했다.

아울러 북한은 주한미군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가 배치될 성주에 대한 타격도 염두에 두고 훈련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최대 사거리 700㎞인 스커드-C와 1천300㎞의 노동미사일을 전날 발사에서 500~600㎞까지만 비행하도록 한 것에 대해 "사거리를 제한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사일을 85도 이상 높은 각도로 발사해 대기권으로 쏘아 올리는 방식으로 남한 후방지역을 타격할 수 있도록 최대 비행거리를 줄였다는 뜻이다.

북한은 지난달 22일 무수단(화성-10) 중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했을 때도 "최대 사거리를 모의하여 고각발사체제로 진행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이 미사일은 최대 정점 고도 1천400여㎞로 올라간 다음 하강해 400㎞를 비행했다. 무수단의 사거리는 3천~4천㎞에 달한다.

이어 북한 매체는 "(이번 발사가) 목표지역의 설정된 고도에서 탄도로케트에 장착한 핵탄두 폭발조종장치(기폭장치)의 동작 특성을 다시 한 번 검열(점검)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탄도미사일이 최정점 고도에서 하강해 고도 40여㎞ 상공에서 핵폭탄을 폭발시키는 방식을 적용했다는 의미로, 이번 훈련이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주요 군사시설을 핵탄두 탑재 미사일로 타격하기 위한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날 발사한 북한의 미사일은 고도 150㎞ 이상으로 상승했다가 하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1발은 정상궤도를 비행하지 않아 공중에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됐다.

조선중앙방송 이날 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가 "남조선 주둔 미제침략군기지들을 타격할 임무를 맡고 있다"고 보도함으로써 전략군 예하에 편제된 스커드와 노동미사일 부대의 임무를 명확히 설명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