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내 잠재적 대권주자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성주 배치는 물론 사드 배치 자체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1일 '사드배치반대 대구경북대책위원회'가 '사드 배치 반대 당론'을 요구한 데 대해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이런 관점(사드 배치 반대)과 방향으로 우리 당이 가도록 당 지도부에 진지하게 건의드리겠다"고 했다.
참으로 답답한 소리다. 북한은 1천 기의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80%가 남한을 겨냥하고 있다. 게다가 북한은 사드를 피해가기 위한 고각사격, 살상력 극대화를 위한 미사일 공중 폭발 실험까지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기댈 수 있는 현실적 방어무기는 사드뿐이다. 이것이 우리가 처한 안보 현실이다. 대권을 꿈꾼다면 이런 현실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 김 의원에게 그런 흔적은 전혀 없다.
사드의 한반도 배치와 성주 배치를 한데 묶어 반대한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물론 정부가 사전 협의나 토론 없이 일방적으로 성주 배치를 결정한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정부는 반드시 성주 주민이 동의할 수 있는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사드 배치 자체와 분리해 논의할 사안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면서 야권의 사드 배치 재검토 요구에 "사드 배치 이외에 북한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부디 제시해 주셨으면 한다"고 했다. 김 의원에게도 해당하는 소리다. 사드 말고 북한 미사일을 방어할 수 있는 대안이 있나?
김 의원은 대안을 제시하긴 했다. "북핵 해결과 사드 배치 철회를 동시 타결하면 된다"는 것이다. 참으로 이상적인 해법이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순서를 혼동한 것으로, 전혀 해법이 될 수 없다. 사태의 원인은 북한의 핵 개발이고 사드 배치는 그 결과다. 그렇다면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의 핵 포기가 선결돼야 한다. 그것도 '불가역적'(不可逆的)으로. 사드 배치 철회는 그다음 순서다.
지금껏 북한은 한 번도 핵 포기 의사를 보인 적이 없다. 앞으로는 그렇지 않을 것이란 보장 또한 어디에도 없다. 중국만이 북한을 통제할 수 있는 현실적 힘을 지녔지만 중국은 북한의 핵 개발을 방치했다. 중국이 앞으로는 그렇지 않을 것이란 보장 또한 없다. 그런 점에서 김 의원의 동시 타결 해법은 하나 마나 한 소리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