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공항 통합이전 가닥 잡았으면 부지 선정 서둘러야

대구시가 K-2와 대구공항의 통합이전에 힘을 싣기로 했다. 최근 군공항인 K-2만 옮기고 대구공항은 그대로 존치하자는 여론을 두고 고민하다 통합이전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K-2와 대구공항의 통합 이전은 현행법이나 재원 마련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택할 수 있는 최상의 선택일 뿐 아니라 사실상 유일한 방안이다.

일부 시민 주장대로 K-2만 이전하려 했다간 이도 저도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군공항인 K-2만 받겠다는 지자체가 전국 어디에도 없을뿐더러 현행법상 이전에 따른 천문학적 비용을 감당할 수도 없다. 경북도 역시 K-2만을 받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구공항을 그대로 두면 이전터를 정상적으로 개발할 수 없어 개발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니 K-2만 경북도나 다른 지자체로 옮긴다는 것은 이상적이긴 하나 실현하기 힘든 허구일 뿐이다.

대구공항 이전터 개발을 대구 장기 발전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로 삼는다는 것이 대구시의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전터 개발사업 자체만으로도 대구'경북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경기 진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공항 이전터 개발사업이 적어도 7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보고, 이전하는 부지에서도 이에 준하는 사업 창출 효과를 기대한다. 공항 이전이 대구'경북에서 적어도 10조원 이상의 경제효과를 창출할 프로젝트가 되는 셈이다. 대구시는 통합이전을 전제로 인근 검단들, 안심지역 개발 등 대구 동북부 개발 계획도 세워두고 있다.

대구시가 대구공항의 통합이전으로 방향을 정한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다. 이왕 통합이전으로 결정했다면 추진은 빠를수록 좋다. 현 박근혜 대통령의 임기 중 첫 삽을 뜰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지 선정 작업부터 서둘러야 한다. 대구'경북이 말이 아닌 진정한 상생을 도모할 수 있는 시금석이 이전 공항의 부지 선정이다. 대구'경북이 손잡고 신속하게 결정해야 할 문제다. 군공항 분리이전이냐 통합이전이냐를 둔 다툼은 접어두고 대구시와 경북도, 경북도내 지자체들이 부지 합의를 위해 얼굴을 맞대기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