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 제2청사 격상 추진

해양항만 등 4개과 우선 이전, 에너지 부서 추가 100명 규모

경상북도가 포항으로 이전하는 동해안발전본부를 제2청사 수준으로 확대'개편하는 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다만 법적 논란을 고려해 '동남권청사' 등의 명칭을 고려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2월 동해안발전본부를 포항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 이전 추진위원회는 동해안권 4개 시'군에 대한 평가 결과, 최고점을 받은 포항을 이전지로 선정'발표했다.

동해안발전본부 이전은 안동'예천 신청사 이전에 따른 동남권 지역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경북도는 동해안발전정책과, 해양항만과, 수산진흥과, 독도정책과 등 본부 소속 4개 과 62명 이전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소규모 이전으로는 동남권 주민들의 소외감을 해소할 규모와 기능을 전혀 갖출 수 없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도청 전체 19개 실'국 중 1개국 이전만으로는 독자적인 정책 판단'집행과 민원 처리 기능을 갖추기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난 4'13 총선 당선 직후 박명재(포항남울릉), 김정재(포항북) 의원 등 지역 정치권은 환동해발전본부 추진 특별법 등을 통해 "경북도와 규모 및 기능 확대를 논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동남권과 밀접한 원자력 등 애초 계획에 없던 에너지 부서 등을 추가하고, 근무 인원을 100여 명 이상 늘리는 방안에 착수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미 포항시청에 확대'개편을 고려한 이전 부지 규모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다만 '제2청사' 명칭을 쓰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인구 800만 명 이상인 경기도를 제외하고는 제2청사를 건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신 경북도는 경남도 사례 등을 벤치마킹해 '동남권청사' 등으로 표현하는 방안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도는 지난해 12월 진주시 옛 진주의료원 자리에 제2청사 격의 '서부청사'를 개원했다. 본청 3개국과 2개 직속기관, 460명이 이전해 경남 서부지역을 관할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남도는 조례를 따로 제정해 서부부지사 체제의 서부청사를 운영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면 경북은 '동남권'이라는 표현이 적당하다"며 "경북 인구의 45% 이상이 동남권에 몰려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동남권청사 등 제2청사 수준으로 격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