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의원(4선'대구 수성을)이 새누리당 당권 장악에 실패했다. 주 의원은 비박계 대표 주자로 새누리당 8'9 전당대회에 당 대표로 출마했으나, 친박계의 결집에 밀려 2위에 그치면서 고배를 마셨다.
대구경북 유일 당권주자이기도 했던 주 의원이 당 대표에 오르지 못함에 따라 2006년 강재섭 전 의원 이후 10년 만에 탄생이 기대됐던 TK 당권 장악도 물거품이 됐다.
9일 선거인단 사전투표와 여론조사, 대의원 투표를 합산해 표로 환산된 전당대회 결과에서 주 의원은 1만2천500여 표차로 이정현 의원에게 밀렸다. 비록 2위에 오르긴 했으나 이번 전당대회 룰이 2014년 최고위원 중 최다득표자를 대표최고위원으로 뽑는 방식과 달리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주 의원의 반전 드라마는 일어나지 못했다.
4'13 총선 공천과정에서 당으로부터 버림(공천배제'3월 14일)받고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주 의원은 이후 복당돼 이번 전당대회에 출사표를 던지면서 총선 참패의 민심으로 당의 개혁과 뿌리 깊은 당내 계파청산을 외쳤다.
주 의원은 복당한 지 얼마 되지 않은데다 무계파로 세가 약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열세 후보로 분류됐다. 더군다나 일찌감치 당 대표 경선을 준비한 다른 후보들에 비해 가장 늦게 출마를 하면서, 무의미한 도전을 한다는 당 안팎의 우려를 사기도 했다.
그러나 친박 대 비박 계파 구도 속 '무계파' 후보로서 존재감을 드러내며 다크호스로 부각했다. 비박계 정병국 의원과의 단일화에 성공하면서 일거에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비박계 수장인 김무성 전 대표의 공개 지지 선언 등 비박계의 전폭적인 지지에다 당 텃밭인 TK 출신으로 영남권을 아우를 후보로 인지되면서 당권에 바짝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끝내 친박계의 표 결집에 분루를 삼켜야 했다.
비록 패배했지만 주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정치적 중량감을 키웠다는 평가다. '지역용'이라는 딱지를 떼고 당 중심부에 발을 디디면서 다가오는 대선국면에서의 역할론은 물론 지역의 유승민 의원 등과 함께 향후 존재감을 드러낼 여지도 갖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