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공항 통합이전 합의, 지속적인 관심 가질 때

대구공항 통합이전의 추진 방식과 일정, 재원 조달 방안 등이 윤곽을 드러냈다. 통합이전 후보지가 연내 선정되고 민간 대구공항 이전 시 예산이 부족하면 국비 지원도 가능해진다. 이전 대구공항은 대구 경북 지역의 미래 항공 수요를 충족시키는 수준에서 지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대구공항 통합이전 TF 회의에서 정부'대구시가 합의해 내놓은 결과다.

군공항(K-2)과 민간공항을 통합이전하되 군공항은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민간공항은 국토부 사업으로 각각 추진하되 동시에 이전을 완료하기로 했다. 법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대구시가 그동안 줄곧 주장해 왔던 것이기도 하다. 건의서 평가, 조사 용역 등을 빠른 시일 내 마무리하고 금년 내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기로 한 것도 대구공항 통합이전 의지를 확고히 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공항 규모에 있어서는 대구공항을 지역 거점 공항으로, 장래 항공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로 건설한다는 데 합의했다. 향후 확장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타협점을 찾은 것이다.

그동안 통합이전 TF 회의는 두 차례 열렸지만 주관 부처인 국방부 국토부, 대구시 간 서로 입장이 달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전 주체를 누구로 하느냐가 달랐고, 이전 비용 조달에 대한 입장도 서로 어긋났다. 과거 부시장이 참석하던 TF 회의에 권영진 대구시장이 직접 참석해 타협을 이끌어낸 것은 앞으로 사업 추진 과정에도 시사하는 바 크다.

첫 단추는 끼웠지만 아직 대구시로서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올해 안에 부지를 확정 짓는다고 했지만 어디로 정하느냐의 문제가 크다. 이전지 선정에 앞서 해당 주민들과의 상생 협력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공항 이전 작업이 순조로울 수 있다. 비록 합의는 했다지만 재원 마련 문제 역시 지속적으로 공항 이전의 발목을 붙들 수 있다. 공항 확장 가능성도 아직은 장담할 수만은 없다. 이번 합의 자체는 고무적이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언약한 '제대로' 된 공항을 짓는지 지켜볼 일은 남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