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미 등 색소질환…증상 유형에 따라 치료 달리 접근해야

기미와 잡티와 같은 피부 색소질환은 자외선에 노출되기 쉬운 여름철에 더욱 생겨나기 쉽다. 특히 뜨거운 자외선 아래에서 야외활동이 잦은 여름휴가를 보낸 후 늘어난 기미와 잡티 등으로 고민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기미는 한번 발생 시 저절로 없어지지 않고 자칫하면 색소가 더욱 짙어지거나 범위가 넓어져 치료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어느 질환보다도 초기치료가 필요한 난치성 색소질환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초기의 경우 점, 주근깨와 구분이 쉽지 않은데, 이들은 엄연히 다른 색소질환이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즉 다양하게 나타나는 색소질환은 원인, 증상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기미잡티 없애는 방법을 제대로 선택해야 하고 색소질환이 각각 존재하고 있는 층에 알맞은 레이저를 활용해 선별적인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

이에 대해 부산 뮬피부과 최윤덕 원장은 "다양한 증상의 유형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상태에 따라 다른 치료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해야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색소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사람마다 색소가 생기는 부위, 피부타입, 색소의 깊이, 모양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획일화된 치료가 아닌 기미의 깊이와 모양, 피부상태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말했다.

최 원장에 따르면 병변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 조사시간, 파장 등을 고려해 복합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 예컨대 과잉 생산된 멜라닌 색소가 표피에만 국한되면 표피형 기미가 되며, 진피쪽으로 떨어지면 진피형 기미가 된다. 이 두 가지 형태가 섞여있는 혼합형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형태에 따라 치료도 달라야 한다.

최 원장은 "기미잡티제거를 위해서는 피부의 구조에 대해 정확히 파악 후 피부상태에 맞는 적합한 레이저를 통해 피부 속 깊숙이 자리한 멜라닌 색소만을 타겟팅하여 주변 피부조직 손상 없이 깨끗한 피부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파장으로 피부 속 깊은 진피층의 색소질환까지 개선하기 위해선 다양한 색소전문장비와 임상경험도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