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가 다시 추진된다. 2001년 이후 다섯 번째다.
22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예금보험공사(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30%를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달 24일 매각 공고를 내고 올해 안에 매각 작업을 끝낸다는 계획이다. 예정대로 매각이 성공하면 2001년부터 정부 소유로 있던 우리은행이 민간으로 돌아가게 된다.
공자위는 이날 회의를 열고 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1% 중 30%를 4~8%씩 쪼개서 파는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4% 이상 지분을 신규 낙찰받은 경우엔 사외이사 1인을 추천하는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낙찰자 선정은 입찰가 기준으로 하되, 이사회를 통해 경영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비가격 요소도 심사한다.
공자위는 24일 매각공고를 내고 9월 23일쯤 투자의향서를 접수한 뒤 11월 중 낙찰자를 선정키로 했다. 12월 중으로 주식 양수도와 대금 납부 등 모든 과정을 끝낸다는 계획이다. 현재 예보가 우리은행과 맺고 있는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도 해지키로 했다. 공자위 관계자는 "여건이 갖춰지기를 기다렸다가 매각 공고를 내기 때문에 실제 매각까지 진행되는 속도가 빠를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지난 2010년부터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네 차례에 걸친 민영화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 하나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KB금융지주, 교보생명이 한때 유력한 인수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지만 포기했다. 우리금융지주를 통째로 살 만한 여력이 없어서였다.
결국 지난해 7월 공자위는 우리은행 지분을 쪼개서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 도입을 발표했다. 우리은행 역시 민영화에 역량을 집중했다. 우리은행 직원들은 지난달 초 총 369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기도 했다. 실제 올 들어 1, 2분기에 잇달아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깜짝 실적을 기록하면서 민영화 기대감을 높였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