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기차, 아파트 주차장에서 충전

대구 16곳에 충전 식별장치

25일부터 대구지역 16곳을 비롯해 전국 아파트 주차장 71곳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이곳의 전기콘센트에 전기차 충전 식별장치(RFID 태그) 1천202개를 설치했으며, 2020년까지 식별장치를 1만 개(RFID 태그 14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일신문 DB
25일부터 대구지역 16곳을 비롯해 전국 아파트 주차장 71곳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이곳의 전기콘센트에 전기차 충전 식별장치(RFID 태그) 1천202개를 설치했으며, 2020년까지 식별장치를 1만 개(RFID 태그 14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일신문 DB

25일부터 대구지역 16곳을 비롯해 전국 아파트 주차장 71곳 전기콘센트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는 KT'파워큐브와 협력해 대구 16곳, 서울 20곳 등 전국 71곳의 아파트 주차장 전기콘센트에 전기차 충전 식별장치(RFID 태그) 1천202개를 설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식별장치는 전기를 사용한 사람이 누구인지 구별하는 것으로, 아무 곳에나 충전기를 꽂아 전기를 훔쳐 쓰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식별장치가 부착된 전기콘센트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려면 전용 이동형 충전기가 필요하다. 현재 전기차 신규 구매자는 국가로부터 이동형 충전기를 무료로 제공받고 있다. 기존 전기차 소유자는 이동형 충전기를 80만원가량에 구매해야 한다.

전기콘센트를 이용한 충전 시간은 8∼9시간(3㎾)이 걸린다. 급속충전기를 이용한 충전시간 20∼30분(50㎾), 완속충전기 충전시간 4∼5시간(7㎾)보다 많이 걸린다.

전기차 콘센트 충전요금은 한국전력이 고시한 가정용과 별도로 저렴하게 책정돼 있으며, 매월 사용요금을 부과받는다. 가령 주행거리가 62㎞인 전기차의 경우, 식별장치가 부착된 전기콘센트를 사용하면 급속충전기 요금(3천881원)보다 32% 낮은 1천240원을 내게 된다.

전기차 소유자는 전기차 충전 식별장치가 부착된 건물 어디서나 충전할 수 있다. 환경부는 전기차 충전 식별장치를 2020년까지 1만 개(RFID 태그 14만 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