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인 고령 가구의 증가가 중소형 주택 선호도를 굳히고 있다. 고령으로 갈수록 이사 면적이 현저히 줄어드는 등 주거 다운사이징 현상이 짙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통계청 장래가구 추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가구 수 중 1, 2인 가구 비중은 2000년 34.7%에서 2016년 54.7%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55세 이상 비중이 50.9%로 과반을 차지했다. 2010년 이후 연령대별 가구 수 증가율도 65세 이상이 5.5%, 55∼64세 가구가 8.3%로 조사돼 50∼60대가 1, 2인 가구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 2인 가구 증가는 중소형 주택 선호도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현재 주거 트렌드를 주도하는 중소형 대세 현상이 더욱 견고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1, 2인 가구 가운데 중소형 주택에 거주하는 비중은 34세 이하가 9.6%, 35∼54세 18.6%, 55세 이상 49.9%로 고령층일수록 중소형 주택 거주 비중이 높았다.
감정원이 2014∼2015년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1, 2인 가구주의 이사 전후 전용면적을 추적 조사한 결과에서도 가구 확장 연령대인 35∼54세에서는 이사 이후 주거면적이 커졌다. 하지만 55∼64세는 이사 후 76.4㎡에서 74.6㎡로, 65세 이상에서는 80.8㎡에서 77.2㎡로 전용면적을 줄여가는 '다운사이징' 현상이 나타났다.
감정원 채미옥 연구원장은 "55세를 기점으로 근로자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자녀의 결혼 등에 따른 분가로 인해 거주하는 주거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중소형 선호 현상으로 2012년 이후 전국의 아파트값은 전용 60㎡ 이하 소형이 10.4% 오르고 중소형(60∼85㎡)은 5.8% 상승한 데 비해 중대형(85∼135㎡)은 1%, 대형(135㎡ 초과)은 7.1%가 각각 하락하는 등 중소형 아파트값 강세로 이어졌다. 전용 85㎡ 이하 소형 거래량 역시 2012년 기준 81.5%에서 올 6월 87.2%로 높아졌고, 이는 곧 중소형 주택 공급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채 원장은 "베이비부머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18년 이후에는 1, 2인 가구 증가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앞으로 중소형 주택'준주택의 안정적인 공급과 임대관리업의 성장 기반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