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영덕군은 새로운 미래와 도약을 향한 출발선에 섰다. 전국 최초 '유소년축구 특구'로 지정됐고 '영덕대게 축제'가 '국가유망 축제'로 선정됨과 동시에 강구대게거리가 '한국 관광의 별'로 지정됐다. 스포츠-관광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경제적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고, 연말부터 개통하여 상주에서 영덕까지 이어지는 동서4축 고속도로 광역교통망은 외적 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다. 우리 군은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쓰레기 관리다.
훤하게 뚫린 도로를 타고 밀려오는 관광객들은 수려한 영덕 블루로드와 각종 스포츠대회만 보는 게 아니다. 시가지를 거닐고 특산품 음식을 즐기고 안락한 잠자리를 찾게 된다. 군민과 생활공간을 공유하는 것이다. 그런데 곳곳의 관광지가 그러하듯, 관광객의 이동만큼 남게 되는 쓰레기, 그리고 군민들의 쓰레기, 이를 해결하지 않고는 쾌적한 거주 공간 그리고 관광지가 될 수 없다.
우선 생활 쓰레기에 대한 기본 인식을 바꾸기로 했다. 그러니까 쓰레기는 단순한 폐기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군은 지난 2014년 말부터 '쓰레기도 자원이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생활 쓰레기 재활용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사업 초기에는 13t, 작년에는 500t을 재활용하여 6천만원의 수익을 냈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500t을 처리하여 벌써 5천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영덕군 환경자원관리센터는 매일 수거한 종량제 봉투에서 쓰레기를 꺼내 1차로 재활용품을 분리하고 2차로 품목별로 구분하여 계약업체에 판매한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분리수거가 정착되고 재활용품 양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영덕을 찾은 관광객들은 연간 830만 명. 이들은 영덕읍내 곳곳의 종량제 봉투 수거함을 보게 된다. 현재 100개의 종량제 봉투 수거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량제 봉투를 쉽게 실을 수 있는 압축진개차들이 수시로 거리를 도는 풍경도 발견한다.
관광객 또한 쓰레기도 이젠 새로운 자원으로 순환되어야 한다는 걸 알고 계실 터이다. 문제는 실천이다. 이미 독일 함부르크시는 2007년부터 쓰레기 줄이기와 자원회수 캠페인으로 생활쓰레기 10만t을 감소시켰고 42년간 가동한 쓰레기 소각장을 폐쇄한다고 한다. 그 자리에는 자원관리'회수처리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 일본 교토시는 신 쓰레기 반감계획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 분리수거와 재활용을 촉진하여 배출량을 39만t이나 줄이기로 했다.
바야흐로 쓰레기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다.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서울 홍대 젊음의 거리에 설치된 재활용 자판기를 들 수 있겠다. 캔과 페트병, 종이팩 등 재활용품을 넣으면 품목별로 분류'압축되고, 모아진 재활용품의 판매수익금은 공익적 목적을 위해 기부된다.
'미래의 영덕'을 천혜의 자원만큼 '아름다운 영덕' '살고 싶은 영덕'으로 가꿔 나가고 싶다. 그 방안 중의 하나로 쓰레기 분리수거를 꼽은 바 있다. 스스로 다짐하기 위해 신문 인터뷰에서 이를 밝히기도 했다. 쓰레기는 눈앞에서 치운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수시로 군내의 쓰레기 분리수거함을 살피면서, 그 안에 담긴 우리 군민들의 성숙한 환경의식을 더없이 소중하게 생각한다. 블루로드의 경관처럼 아름답고 청결한 거리, 특산명품 대게만큼 소문난 시민의식, 그리고 미래를 내다보는 환경 정책. 필자는 이를 항상 염두에 두고자 한다. 우리의 고장, 이 땅은 사실 후손들에게 빌려 쓰고 있는 것이라는 말을 새삼 되새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