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 신임 대표의 과제…대선 앞 전열 정비 첫 숙제는 '비주류 껴안기'

친문·친노 주류의 선택, 수권 정당 모습 보일려면 중도·비주류 지지 얻어야

27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2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에서 추미애 신임 당 대표가 지도부와 함께 당선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제2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에서 추미애 신임 당 대표가 지도부와 함께 당선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미애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에 선출되면서 향후 강경한 대여(對與) 전선이 형성될 조짐이다.

특히 친문(문재인), 친노(노무현)계 등 당내 주류 세력이 추 대표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내년 대선을 앞두고 계파를 아우르는 당내 통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당을 재정비해 분산된 야권 지지층을 결집하고 여소야대 국면이 안겨준 '수권 야당'의 모습을 보이며 정권교체를 이뤄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먼저 당내 정비가 시급하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여실히 드러났듯 친문'친노로 대표되는 주류와 비주류 간의 알력을 하루빨리 치유해야만 곧 닥칠 대선 국면에서 일사불란한 모습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4'13 총선 직전 집단 탈당과 국민의당으로의 분화 등 극심한 내홍을 겪어야 했던 더민주가 비주류를 껴안지 못할 경우 또 다른 분열의 길을 걸을 수도 있다. 특히 당내 노선 정립에 계파 논리가 개입되고 이를 바라보는 중도 및 비주류의 불만이 잠재하는 한 휘발성을 더할 대선 국면에서 또 다른 분열을 야기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도사리고 있다.

친노'친문 세력의 지원 속에 제1야당의 수장이 된 추 대표가 계파 논리에서 벗어나 소신을 펼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전대과정에서의 발언들을 보면 추 대표 역시 당 지도부에 친문 인사가 대거 포진한 상황을 극복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 바로미터는 당직 인선이 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보은인사로 특정 계파를 줄 세울지, 당 통합에 방점을 찍는 탕평책을 구사할지 주목되는 이유다.

이는 적지 않은 야권의 '잠룡' 분포와 무관치 않다. '이대문'(이대로 가면 문재인이 대선후보라는 말)이라는 용어가 야권에 널리 회자되듯 당내 대선 후보들이 공정하게 경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특정 후보 밀어주기'라는 오해를 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 대표가 전대 과정에서 쌓인 친문 이미지를 하루빨리 벗어던져야만 지난 총선에서 제1당을 만들어준 국민의 지지를 이어갈 수 있다. 내년 대선에서 이슈가 될 야권 통합을 위한 당 체질을 강화하고 문호를 개방해 결과적으로 야권 통합의 메신저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칩거에 들어간 손학규 전 상임고문은 물론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를 경선장으로 끌어들여 흥행을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당 내외 인사가 자신의 재능과 국정철학을 국민에게 알리고 국민 심사위원들이 심사를 통해 후보를 압축, 공식 경선을 하겠다는 새누리당의 '슈퍼스타K(슈스케) 경선'과 같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추 대표는 전대 과정에서 "당대당 통합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통합을 추진해야 하지만 당장은 지지층 통합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여소야대 국면을 활용한 정국 주도권을 거머쥐어야 하는 것도 숙제다. 대선 정국에서 '이슈 메이킹' 선점 여부에 따라 여야 균형추가 오가기 때문에 강력한 대여 리더십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당내에서 집중적으로 제기될 '선명성' 문제에 봉착할 가능성이 작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당장 김종인 체제에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했던 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 정리를 요구받을 가능성이 크다. 물론 추 대표는 한반도 사드 배치 반대 입장을 줄곧 견지해 와 개인적인 입장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권정당을 지향하는 제1야당 대표로서의 추 대표가 과연 야성(野性)만을 강조할 것인지는 두고 볼 문제라는 게 당 안팎의 시각이다. 선명성이냐 외연 확장이냐에 대한 첫 시험대가 바로 사드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