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나 안전관리 강화, 예방 캠페인 등 사회적 노력에도 우리 산업재해가 획기적으로 줄지 않고 있다. 지난해 산업재해율이 통계 작성 이후 최저인 0.5% 수준으로 떨어지고, 산업재해자수 또한 2010년(9만8천645명) 이후 5년간 매년 줄고는 있으나 여전히 재해율이 높고 재해로 고통받는 근로자가 많은 게 현실이다.
고용노동부의 '2015년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산업재해자 수는 모두 9만129명이다. 이 가운데 1천810명이 각종 사고와 질병으로 목숨을 잃었다. 사망자 수만 놓고 보면 우리 산업재해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사망률은 OECD 국가 평균(2.6명'2012년 기준)의 약 3배(7.3명)로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체 재해의 70%를 넘는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과 재해율이 높은 제조업'건설업종의 산업재해는 근로자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것은 물론 산업현장 안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런 산업 안전 후진국의 배경에는 각 사업장과 근로자 안전 의식이 가장 큰 문제다. 또 재해를 막기 위한 국가적 노력도 아직 부족한 것이 주된 원인이다.
대구경북 각 사업장의 산재 통계도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해 지역 재해자는 8천852명이었다. 이 가운데 건설업종 재해자가 2천752명으로 전체의 31.3%를 차지했다. 올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대구고용노동청 포항지청에 따르면 올 들어 포항'경주 등 경북 동해안지역 사업장에서 829명이 재해를 입었고, 이 중 9명이 사망했다. 이런 재해로 인해 산업현장은 말 그대로 살얼음판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동안 당국은 소규모 재해 취약 사업장에 대한 안전기술지도, 재정 지원 등 재해 예방 노력을 집중했다. 그럼에도 재해가 끊이지 않는 것은 예방사업에 허점이 많거나 사용자'근로자 안전 의식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통계에서 드러났듯 소규모 사업장의 열악한 작업환경을 시급히 개선해 재해율을 크게 낮춰나가야 한다. 근로자도 안이한 안전 의식으로는 자신을 지킬 수 없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자기 건강과 안전이 가족과 직장, 사회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