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도 재활병원 늦더라도 반듯하게 지어라

경상북도 재활병원 건립계획이 정처 없이 떠돌고 있다. 경산시와 경북도가 국비와 지방비 각 135억원씩 모두 270억원을 들여 경북도 재활병원을 짓기로 했으나 부지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부지 문제 등 심층 검토 없이 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과 시장이 덜컥 공약부터 내건 결과다.

계획은 거창하다. 경북도 재활병원은 경북대병원을 위탁운영기관으로 해 재활의학과를 포함해 내과, 치과 등 모두 7개 진료과목과 건강검진센터, 수중 치료실 등을 갖추고 전문적인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준공도 2019년으로 제시했다.

이런 그럴듯한 청사진으로 지난해 9월 국책사업으로 선정됐지만 재활병원은 아직 부지조차 구하지 못했다. 당초 경산시 갑제동 440-5 조폐공사 부지를 정했지만 조폐공사 측이 '분할매각이 어렵다'는 통보를 해오면서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임당동 고분군 옆 옛 학교용지로 부지를 바꿨지만 이 또한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에 인접하면서 문화재청에 의해 제동이 걸렸다.

경산시는 결국 대안으로 재활병원을 건립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대구미래대학교 법인 소유의 땅에 눈독을 들였다. 하지만 이마저 학교재단 소유 재산 매각은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다 시의회 등에서 접근성에 문제가 있고, 부지가 협소하다며 부적절하다는 판단을 내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됐다.

결국 경산시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경산시는 "사업기간을 최소화하겠다"며 "시민이 이용하기에 불편이 없는 공공병원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업기간을 최소화하겠다는 말은 약속한 준공시기에 맞추기 위해 날림으로라도 진행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재활병원은 건립 부지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더라도 반듯하게 지어야 한다. 기일에 쫓겨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적절한 부지를 찾지 못하면 준공 후 '시민불편이 없는 공공병원'은 물 건너간다. 환자를 위한 병원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경산시와 경북도는 이제라도 시간을 갖고 시'도민의 공감대를 얻을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