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는 여야 의원들의 고함과 삿대질이 오가는 가운데 파행을 거듭하다, 야당 의원들만 참석한 채 진행됐다. 이례적인 여당의 보이콧으로 제도가 도입된 지 16년 만에 처음으로 야당 단독 청문회는 출발부터 삐걱거렸다.
청문회에서는 조 후보자의 재산증식과 후보자가 18대 국회 정무위원회에 소속됐을 때 남편이 공정위원회 관련 사건을 수임했던 경력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야당 의원들은 조 후보자와 남편인 박성엽 김앤장 변호사의 지출 문제 질의도 이어졌다. 2002년부터 2015년까지 부부 합산 소득(186억여 원)에서 낸 세금 61억원을 빼면 가처분 소득이 125억원인데 이를 어디에 어떻게 썼는지에 대한 물음에 조 후보자는 "가처분 소득에서 공제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사무실 운영 비용과 외국에서 공부하는 자녀 유학비, 임대차보증금 부족분 등이 누락됐다"고 재산 신고 일부가 누락됐음을 인정했다.
1일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 역시 혹독한 검증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야당은 김 후보자가 주택구입 및 전세입주 과정에서 대기업으로부터 특혜를 받았는지에 대해 파상공세를 펼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자는 지난 2001년 건설업체로부터 시세보다 2억원 이상 싸게 아파트를 구입했다가 되파는 과정에서 3억원이 넘는 시세차익을 남겼다. 특히 김 후보자는 당시 아파트 매입자금 전액을 농림부의 감독을 받는 농협으로부터 대출받아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아울러 김 후보자가 90평형 아파트를 7년 동안 시세의 절반도 되지 않는 가격에 전세를 산 사실도 드러나 이에 대한 공세도 거셀 전망이다. 또 김 후보자는 농촌진흥청장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재직 중 64차례 외부강연을 하면서 과도한 강연료를 챙겼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농촌진흥청 종자관리소장으로 재직 중이던 지난 2000년 중앙대 박사 학위 취득 과정에서 부하직원을 동원해 업무와 관련된 내용의 논문을 작성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