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억원대 급여 부당 수령' 혐의로 17시간 밤샘 조사를 받은 신동주(62)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이 다음 주 재소환된다.
2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롯데수사팀은 신 전 부회장을 다음 주 중 다시 불러 조사하기로 하고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통역 문제로 조사에 시간이 오래 걸려 아직 미진한 부분이 있다"고 재소환 이유를 설명했다.
신격호(94) 총괄회장의 장남인 신 전 부회장은 전날 오전 10시 검찰에 출석해 이날 오전 3시쯤 귀가했다. 조사 내내 일본어 통역이 배석해 신 전 부회장의 진술을 전달했다.
검찰은 신 전 부회장을 상대로 최근 10년간 호텔롯데'롯데상사'롯데건설 등 주요 계열사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려놓고 400억원대 급여를 받은 사실과 관련해 횡령 범죄 고의성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신 전 부회장은 급여를 수령한 사실 자체는 인정하면서도 "등기이사로 등재되고 급여가 지급되고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다"며 고의가 없었다는 취지로 소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검찰은 등기이사로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고 급여를 받은 것은 부당하게 회삿돈을 착복한 것과 같아 횡령 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룹의 컨트롤타워인 정책본부가 총수 일가에 대한 과도한 급여 지급 과정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도 확인할 계획이다. 검찰은 다음 주 신 전 부회장 외에 황각규(62) 그룹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소진세(66) 대외협력단장(사장) 등 핵심 관계자들도 차례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그룹 비리의 정점에 있는 신동빈 회장의 소환 시기도 다음 주 중 결정될 전망이다. 이르면 추석 연휴 직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신 회장은 해외 인수합병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을 다른 계열사에 떠넘기거나 알짜 자산을 헐값에 특정 계열사로 이전하는 등 배임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검찰은 신 회장이 일본 롯데 계열사에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100억원대 급여를 받은 단서도 잡고 횡령 혐의 적용이 가능한지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업계에서는 신 회장이 한 달에 한두 차례 일본을 찾아 주요 계열사 업무를 챙기는 등 '셔틀 경영'을 한 점 등을 고려하면 혐의 적용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