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벌초대행 서비스 수요 20% 뛰자 가격도 천차만별

지역농협 6만원, 업체 최대 12만원

벌초대행 서비스가 갈수록 인기를 끌고 있지만 비용이 천차만별인 데다 부실한 서비스 탓에 이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전국산림조합에 따르면 2012년 2만여 건이던 벌초대행 서비스 이용 건수는 지난해 2만3천600여 건으로 15.3% 증가했다. 올 추석을 맞아 산림조합 대구경북본부에 접수된 벌초대행 서비스 신청도 예년보다 20%가량 증가하는 등 매년 4천 건이 넘는 신청이 접수되고 있다. 산림조합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본부에 들어오는 문의 전화가 예년보다 훨씬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벌초대행 서비스가 보편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용자들은 주로 바쁜 생활 때문에 벌초할 짬이 나지 않거나 조상의 묘소가 너무 먼 경우에 서비스를 신청하고 있다. 농촌 지역의 고령화가 가속되면서 벌초할 젊은이가 사라진 점도 서비스 이용이 늘어난 원인으로 꼽힌다.

직장인 김모(37) 씨는 "그동안 안동에 있는 조부모님 묘소 인근에 사시는 큰아버지가 벌초를 도맡아 하셨는데, 연세가 높아지고 거동이 불편해져서 2년 전부터 벌초대행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서 "벌초가 끝나면 인증사진을 보내주고, 전문가 손에 맡긴다는 점에서 믿을 만하다"고 했다.

그러나 벌초대행 서비스에 대한 불만도 쏟아지고 있다. 벌초대행 서비스는 산림조합과 지역농협뿐만 아니라 사설업체들도 대행하고 있다. 지역농협의 경우 봉분 1기 기준으로 6만원, 산림조합은 8만원 수준에 가격이 형성돼 있지만, 사설업체들은 8만~12만원으로 지역농협과 최대 2배나 가격 차가 난다. 게다가 허술한 관리로 묘소가 망가지거나 계약 취소 시 환불거부 등 다양한 피해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묘지관리 대행업체와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관리비나 관리방법, 환불규정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면서 "전화나 인터넷상으로만 계약하기보다는 직접 묘지에 업체 관계자와 함께 방문해 구체적인 관리 내용이나 비용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