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는 큰 어금니 중 세 번째 위치인 제3대구치를 말한다. 구강 내에 가장 늦게 나오는 치아로 보통 17~20세 무렵에 나기 시작한다. 요즘은 청소년들의 성장이 일찍 이뤄지면서 사랑니가 돋아나는 시기도 점점 빨라지는 추세다. 사랑니는 위 아래턱 좌우에 각각 한 개씩 최대 4개까지 난다. 다만 성인 중 7%는 사랑니가 아예 나지 않고, 개수도 제각각이다.
사랑니가 정상적으로 나고, 청결하게 관리하면 그대로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랑니가 불완전하게 돋거나 잇몸 속에 묻히는 경우에는 치아 건강을 해칠 수 있어 뽑는 것이 낫다. 사랑니가 잇몸에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 끼고 세균이 번식해 염증을 일으킨다. 이 경우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면 안면부 감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래턱의 사랑니가 앞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사랑니와 어금니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충치가 생기기 쉽다. 이 경우 충치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신경치료나 발치로 이어질 수 있다. 낀 음식물로 인해 치아 주위의 잇몸 뼈가 녹아내리는 풍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사랑니가 치배에서 자란 상태로 오랫동안 돋아나지 않을 경우 사랑니 주위에 물혹이나 양성종양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물혹이나 양성종양은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 자칫 병을 키우기 쉽다.
사랑니를 뽑기 전에는 지혈을 위해 아스피린 계통의 약을 5일 정도 먹지 않아야 한다. 골다공증 약이나 골다공증 주사를 맞고 있는 경우에도 반드시 치과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발치 후에는 침을 뱉거나 빨대로 음료수를 마시지 않아야 한다. 음주나 흡연도 중단하고, 뜨거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를 발치한 뒤 출혈과 부기, 발열. 발치 부위의 감염. 입술과 혀의 신경손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출혈은 대부분 3시간 이내에 지혈이 되지만 만 하루가 지나도 멈추지 않으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부기는 발치 후 48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가라앉는다. 사랑니를 뽑는 과정에서 신경이 손상돼 입술과 혀가 저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6개월 이내에 회복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