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에 기대고 있던 대구경북 수출입 기업들이 허겁지겁 물류 운송 대책을 세우느라 기운을 빼고 있다. 기존보다 30%가량 높은 해운 운송료로도 선적이 어려운 실정이고, 급한 물류는 비싼 항공화물로 보내느라 부담이 이만저만 아니다. 잦은 대규모 해외 운송을 위해 10년 넘게 한진해운을 이용해 오던 대구 달서구 소재 A사는 이달 들어 납기가 급한 해외 수출 물량을 보내고자 선적화물보다 3배가량 비싼 항공화물을 택했다. 기존 1천만원이 들던 운송료는 3천만원가량으로 뛰었다. 포워딩(물류 주선)업체에 한진해운을 대체할 다른 해운사를 찾아보고자 의뢰했으나 이 역시 쉽지 않은 일이었다. 신규 선적화물 운송료가 기존 대비 20~30% 뛰었고, 이마저도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화물을 실을 공간마저 없다더라는 얘기만 돌아왔다.
A사 관계자는 "한동안 운송비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자칫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기라도 하면 고객사 신뢰를 잃을 수 있어 걱정이 크다"며 "하루빨리 사태가 진정되든지, 수출입 운송 시장이 안정되기만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대구상공회의소와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 등에 따르면 대구경북의 수출입 중소기업 가운데 한진해운을 거쳐 물류를 운송하는 비중은 20~40% 내외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가운데 외국계 해운사들이 수요 대비 선적 공간 부족 등을 이유로 잇따라 운송료를 올리고 있고, 항공화물은 운송료가 비싼 탓에 사정이 급한 지역 수출입 기업들은 비용 부담을 크게 느끼는 모양새다. 다만 한진해운의 선박 압류, 입항 거부에 따른 운송 장애 등의 피해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포항 기업들의 경우 한진해운 사태에 따른 어려움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항지방해양수산청 등에 따르면 한진해운이 주로 운영한 대부분의 선박은 컨테이너선으로 대부분 부산 등 다른 지역 항만을 이용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포항 소재 기업들은 대부분 포항신항만, 영일만항을 주로 이용하며 이곳에 입항하는 대우로지스틱스, 아산상선, 팬오션 등과 거래하고 있어 피해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