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문인협회 막내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정화(53'사진) 작가는 '역사가 있는 곳의 단골 시인'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안동지역 곳곳에 김 작가의 시비를 비롯해 시인으로서의 활동 족적이 뚜렷이 남아있기 때문에 얻은 유명세다.
시인과 수필가, 칼럼니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 작가는 지난 7월 6일 안동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에서 열린 6'25참전 전몰 학도의용군 추념식에서 '충혼의 불꽃'이라는 제목의 추념시를 낭송했다.
학교 측은 이날 학교 충의탑 공원에 김 작가의 추념시를 새긴 시비를 세워 나라가 어려울 때 분연히 일어나 목숨을 바친 선배들의 뜻을 후배들이 기릴 수 있도록 했다.
이에 앞서 김 작가는 6월 풍천중학교 역사비 제막 현장에서도 '풍천중 역사비 제막에 부쳐'라는 제목의 축시를 지어 낭송했다. 또 새해 아침 해맞이 행사장에서도 '새해 새날 아침의 기도'라는 신년시를 낭송하기도 했다.
김 작가는 "살아오면서 가끔 가슴속에서 밀고 올라오는 그 먹먹함 때문에 잠들 수가 없었다. 지나온 나날의 공허하고 남루해지는 세월 뒤안길엔 부정할 수 없는 상처들과 지워지지 않는 아픔 속에서도 글이 있어 살아온 삶이 그다지 궁핍하지는 않았다"며 "시와 수필 등 글을 통해 축복받은 삶은 선물 그 이상"이라 했다.
"아카시아 향기와 들꽃에 친숙한 사람, 자연을 사랑하는 문학인으로 열심히 글 밭에서 뒹굴겠다"고 밝힌 김 작가는 한국문인협회, 안동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도 한국국보문학 이사, 한국문학신문 기자, 안동강남마을신문 편집위원장, 사랑방 '안동' 편집위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