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중심 한반도 허리경제권 시대가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 2월 경북도청이 대구 산격동에서 안동'예천으로 이전하면서 대한민국 광역협력의 틀에 지각변동이 발생한 것이다. 그동안 동남권 내지 남부권이라는 틀 속에 머물렀던 경북도는 도청 이전과 함께 중부권, 수도권으로까지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이 같은 새로운 시대의 중심에 선 김관용 경북도지사에게 한반도 허리경제권이란 무엇인지, 허리경제권의 발전 전략과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해 들었다.
Q1. 한반도 허리경제권의 의미는?
도청이 대구에서 북상하고 국가 행정의 중심이 서울에서 세종시로 남하해 북위 36도상에서 나란히 만났다. 충청남도 도청이 이전한 내포신도시도 동일 위도상에 있다. 이에 따라 환동해와 환서해를 잇고 수도권과 남부경제권을 연결하는 '한반도 허리경제권'이 형성됐다. 이는 지금까지 남북 위주의 국토 성장 전략에서 탈피해 동서축의 발전 전략이란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아울러 국토 균형발전과 국토의 통합적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유용한 전략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Q2. 한반도 허리경제권 발전 전략은?
경북과 대전'세종'충북'충남'강원을 잇는 광역산업벨트 구축에 나선다. 무엇보다 허리경제권은 바이오'생명 산업 기반에 강점이 있다. 농생명, 스포츠 분야에서도 특화돼 있다. 이러한 강점을 활용해 각 분야 광역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미 구체적인 발전 계획을 수립했다. 문화적으로도 허리경제권을 중심으로 중원문화와 신라'백제문화가 서로 소통하고 융합하는 새로운 문화융성의 현장을 만들겠다. 광역 문화관광벨트를 만들고, 다양한 문화행사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등 관광산업 육성에도 힘을 모아나갈 것이다.
Q3. 가장 취약한 것이 도로를 비롯한 SOC망이다. 이에 대한 복안은?
충남 보령과 경북 울진을 잇는 '한반도 허리 고속도로'가 핵심 사업이다. 이는 환동해와 환황해 경제권을 잇는 경제 대동맥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2년 충남과 충북이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협약을 한 상태로, 정부에도 수차례 건의된 바 있어, 머지않아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와 함께 동서내륙철도, 경북선 복선전철화 등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Q4. 허리경제권을 뒷받침할 중부권 정책협의회가 출범했는데, 앞으로 계획은?
지난 6월 경북을 비롯해 대전, 세종, 충북, 충남, 강원, 전북 등 7개 시도가 참여하는 중부권 정책협의회가 발족해 가동에 들어갔다. 이는 '한반도 허리경제권'이라는 공동목표를 위해 영남과 호남, 충청, 강원까지 뭉친 초광역적인 협의체다. 전통적인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종전의 '영남권' '부'울'경' '영호남'과는 달리 정책을 연결고리로 해서 탄생한 협의체로는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이다.
현재 준비 중인 실무추진기구가 만들어지면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시도 연구원이 참여하는 '한반도 허리경제권 포럼'도 동시에 가동해 정책적인 뒷받침을 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