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광합성의 효율을 기존 방식보다 1천 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로 수소 연료 상용화 등 관련 기술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경량(34) 대구대 화학'응용화학과 교수는 최근 '염료감응 태양에너지 변환을 위한 자기조립형 분자기반 p/n 접합 반도체 구조 개발'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인공 광합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산화-환원 분리' 지속 시간을 기존 밀리초(milliseconds, 1천 분의 1초) 단위에서 초(Seconds) 단위로 늘리는 기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인공 광합성에서는 광 유발 산화-환원 분리 지속 시간에 따라 생산되는 연료와 산소량이 결정되는데, 지속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인공 광합성을 통해 얻게 되는 연료와 산소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고 연료와 산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구 온난화 등 환경 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미래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공 광합성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원천 기술이기 때문에 물에서 수소 연료생산 상용화 등 관련 기술 개발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세계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 2016년 6월호에 실렸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