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9일 북한 5차 핵실험 소식이 전해지자 즉각 국회 관련 상임위원회를 소집하고 당 차원의 긴급회의를 여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안보정당'을 자처하는 새누리당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보다 빨리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한 것은 물론 강력한 대북 규탄메시지를 쏟아냈다.
이정현 대표는 이날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핵 문제의 초당적 대책 마련을 위한 여야 대표 회담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금기시하고 논의에서 배제해온 모든 옵션을 테이블에 올려놓자"고 언급했다. 핵무장도 회담 의제로 삼자는 것이다.
'핵추진 잠수함' 도입을 주창했던 정진석 원내대표도 "이제 국가적 대응으로 새롭게 우리가 채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고, 염동열 수석대변인은 "우리 스스로 강력한 자구책을 근본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논평했다.
당론으로 채택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기로 했고, 일부 의원들은 주장 수준에 머물던 '핵무장론'을 전면에 내세워 안보 정국 대응을 주도적으로 이끌겠다는 의지를 엿보였다.
더민주와 국민의당 지도부도 잇따라 긴급회의를 소집, 안보 이슈에서 결코 새누리당에 뒤처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더민주 추미애 대표는 북한 핵실험에 대해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한반도와 동북아에 긴장을 몰고 오는 중대한 도발 행위"라며 "북한 핵 보유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북한의 계속되는 백해무익한 도발 행위는 한반도는 물론 세계 평화를 저해하는 만행으로, 마땅히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초하는 행태"라며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야 정치인들 사이에서도 핵무장론부터 대화론까지 북핵 도발에 대한 '극과 극'의 해법이 제시됐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의원 모임'(약칭 핵포럼)을 이끄는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은 이날 성명에서 "핵을 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핵 보유밖에 없다"면서 "우리도 평화 수호를 위한 자위권 차원의 핵무장 수순을 밟아야 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더민주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핵미사일 공격 시 선제공격력을 보여줄 수 있는 최소 억제력을 갖추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여야 3당 원내대표는 북한 핵실험을 규탄하는 내용으로 이날 오후 외교통일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결의안을 오는 20일 본회의에 상정해 통과시키기로 합의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