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핵무장론' 펼치는 與…"북한의 2배 이상 핵무기 만들어야"

김무성·원유철에 이어 이정현도 가세…12일 새누리 긴급 간담회

황교안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강화도 평화전망대를 방문,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국무총리가 11일 오후 강화도 평화전망대를 방문,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의 제5차 핵실험을 계기로 새누리당 내에서 '핵무장론'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핵무장론은 김무성 전 대표와 원유철 전 원내대표가 선봉에 섰다. 이들과 함께 지도부를 구성했던 김정훈 전 정책위의장도 가세했다.

핵무장론 전도사를 자처하는 원 전 원내대표는 12일 자신이 주도하는 '북핵 해결을 위한 새누리당 의원 모임'(약칭 핵포럼) 긴급 간담회를 연다. 원 전 원내대표는 11일 "북한은 핵탄두 소형화'경량화'다종화에 성공했고, 수차례의 미사일 발사 실험으로 핵탄두와 미사일을 결합했다"며 "그러나 우리는 늘 규탄 결의안이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성명 등 '구호'로만 대응했다. 북한이 앞서가는 동안 우리는 제자리에 알몸으로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전술핵을 재배치해 북한과 '공포의 균형'을 이루고,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핵무기를 최소한 북한의 2배 이상 규모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킬체인(북 핵위협 시 한미연합 선제타격 체제), KAMD(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 사드는 모두 방어 수단이다. 상대방은 총을 겨누는데 우리는 방패만 들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와 김 전 정책위의장은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가 수반되는 독자적인 핵무장보다는 한미원자력협정 협상으로 핵무기 개발 능력을 확보해두자는 입장이다. 김 전 대표는 지난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미원자력협정 협상 등을 통해 핵추진 잠수함 도입,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개발, 미국의 전략 핵무기 배치 등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동원해야 할 때"라고 적었다. 그는 "이제 우리는 북핵의 위협을 막을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며 "북핵과 미사일에 대비하기 위한 사드 배치의 필요성이 더욱 명백해졌다"고 강조했다.

김 전 정책위의장도 11일 "일본은 우라늄'플루토늄과 기폭장치를 모두 확보한 상태지만, 우리는 우라늄 농축이나 플루토늄 재처리가 허용되지 않고 있다"며 "우리도 한미원자력협정을 다시 협상해 마음만 먹으면 1, 2개월 안에 핵탄두를 만들 수 있는 수준으로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실제로 핵을 쏠 경우 미국의 '핵우산'은 '사후 약방문'에 불과하다"며 "전술 핵무기를 재배치하고, 궁극적으로는 핵무기 제조 직전 단계까지 준비해두는 게 북핵을 억제할 유일한 수단"이라고 했다.

이정현 대표는 이날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핵이나 미사일개발처럼 무모한 도발 시도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조치들을 정치권과 정부가 함께 강구해야 한다"고 언급, 핵무장론을 정치권 차원의 이슈로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