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주식시장에서 10대 대기업그룹 시가총액이 전체적으로 3%가량 늘어난 가운데 현대중공업그룹이 가장 좋은 성적표를 받아든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3일 종가 기준 10대 그룹 시총은 663조9천213억원으로 작년 마지막 거래일인 12월30일(644조8천507억원)과 비교해 2.96%(19조706억원) 불어났다.
이를 그룹별로 보면 현대중공업그룹 시총이 7조7천148억원에서 11조4천980억원으로 49.04% 급증해 증가율 1위에 올랐다.
이는 주력사인 현대중공업이 빠른 구조조정을 통해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한 데 힘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12월30일 8만7천800원대이던 현대중공업 주가는 지난 13일 13만2천500원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포스코그룹은 연초 이후 시총이 31.46% 불어나 두 번째로 성적이 좋았다.
철강 대장주인 포스코 주가는 같은 기간에 16만6천500원에서 22만4천원까지 35%가량 올라 그룹 전체 시총을 18조1천678억원에서 23조8천827억원으로 견인했다.
포스코 주가는 중국의 철강산업 구조조정으로 국제 철강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최근 강세를 보였다.
SK그룹 시총은 6.43%, 삼성그룹 시총은 6.16% 늘어났다.
SK그룹주 가운데는 SK하이닉스(22.93%)와 SK이노베이션(16.54%), 삼성그룹주 중에는 삼성전자(16.56%)와 삼성카드(72.77%)가 큰 폭으로 올라 그룹 시총을 키우는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10대 그룹 가운데 연초 이후 시총이 두 자릿수로 감소한 곳은 LG(-10.41%)와 롯데(-10.25%)로 나타났다.
LG그룹 시총은 이노텍(-20.81%), 화학(-27.70%), 전자(-7.06%) 등 주요 상장계열사 주가가 부진한 영향으로 79조2천472억원에서 70조9천974억원으로 8조2천498억원 줄었다.
롯데는 검찰 수사의 장기화로 불확실성이 커진 탓에 롯데칠성(-31.84%), 롯데제과(-28.97%), 롯데푸드(-31.40%) 등 음식료 계열사 주가가 크게 빠지면서 전체 시총이 25조7천778억원에서 23조1천343억원으로 2조6천435억원 감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