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GIST 뇌·인지과학 김은경 교수…학술지 오토파지 온라인에 게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김은경 교수(뇌대사체학연구센터장) 연구팀이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새로운 작용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에서 식욕을 관장하는 시상하부의 AMPK가 세포 내 물질을 분해하는 '자가포식(Autophagy) 작용'을 통해 식욕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식욕은 뇌 시상하부에서 식욕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신경펩티드를 분비하는 특정한 신경세포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이 신경세포 활성을 통해 신경펩티드를 조절하는 경로를 파악하는 게 식욕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김은경 교수 연구팀은 영양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가포식이 유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AMPK가 식욕을 조절하는 신경세포 내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해 신경펩티드의 분비와 식욕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은경 교수는 "AMPK 자가포식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한 것"이라며 "식욕 조절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인체 내 에너지 균형을 바로잡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자가포식 분야 세계 최고 학술지인 오토파지(Autophag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자가포식(Autophagy): 세포가 영양소 결핍에 반응해 세포 내 단백질 혹은 손상된 세포 내 소기관을 분해하거나 세포 재구축 과정에서 필요한 물질을 합성해 세포 생존과 항상성 유지를 위해 작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자가포식의 이상은 대사질환, 신경질환, 노화, 암 발생 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