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상청 "지진 조기경보 7~25초대로 단축하겠다"

고윤화 기상청장이 22일 오전 서울 기상청에서 경주 지진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윤화 기상청장이 22일 오전 서울 기상청에서 경주 지진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상청이 지진조기경보시간을 현재 50초에서 7~25초로 단축하기로 했다.

규모 5.0 이상의 내륙지진 조기경보시간을 2017년에는 15초 내외로, 2018년에는 10초가량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2019년부터는 규모 3.5 이상에서 5.0 미만까지로 지진조기경보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상청은 22일 오전 서울 동작구 대방동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지진조기경보 개선방안과 함께 지진관측소 확충계획을 밝혔다.

기상청은 지진조기경보 개선을 위해 현재 206개소인 지진 관측소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2018년까지 314개로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기상청은 지난 5월 발표한 지진재난 종합대책에서 2020년까지 관측소를 314개로 확충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기상청은 또 긴급재난문자 발송 체계를 개선해 오는 11월부터 국민안전처와는 별도로 긴급 재난문자서비스를 국민에게 2분 이내에 직접 발송하기로 했다. 현재 긴급재난문자는 기상청이 국민안전처에 지진 발생을 통보하면, 국민안전처가 이를 취합하고, 최종 문자를 발송하는 시스템이어서 시간이 지연됐기 때문이다. 특히 지진 발생 위치 및 크기를 이용한 문자 구성 및 발송 자동화를 통해 발송 시간을 앞당기기로 했다. 지진 발생 시간과 장소, 규모만 간단하게 단문으로 표시해 속보를 발송하는 형식이다. 기상청은 이후 진앙, 진원 깊이, 진도 등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이어서 긴급재난문자로 계속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계속되는 여진으로 인해 많은 시민들의 심리적 동요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더 이상의 큰 규모의 지진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어 안타깝다"면서 "국립기상과학관이 현지조사팀을 꾸려 학계 전문가과 공동전문가를 구성해서 전진'본진'여진과 피해 상관관계를 정밀분석하고 지자체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