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저수지 95% 이상 지진 무방비…1만6천여곳 내진설계 안해

전국 대부분 저수지가 지진 대응 사각지대에 놓여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형 저수지에는 내진설계가 적용됐지만 50년 넘은 노후 저수지를 포함해 90% 이상은 사실상 지진에 방치됐다.

21일 지방자치단체와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3천379개,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1만4천22개 등 전국적으로 1만7천401개 저수지가 농업용수 등을 공급한다.

이 가운데 1965년 이전 생긴 저수지는 1만2천305개(70.7%), 생긴 지 30년 이상~50년 미만은 4천339개(24.9%), 30년 미만은 757개(4.4%)다.

그러나 내진설계 적용 대상은 594개(3.4%)에 불과하다. 지진'화산재해대책법은 총 저수량 50만㎥ 이상, 제방 높이 15m 이상인 저수지에 내진설계기준을 적용하도록 했다.

동양 최대 사력댐인 소양강댐은 총 저수량 5억㎥, 높이 45m 이상인 '내진 특등급 댐'으로 분류된다. 저수용량 29억㎥인 이 댐은 규모 6.3 이상의 지진을 견딜 수 있다.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저수지 분야가 정책의 사각지대"라고 진단했다. 특히 지자체 관리 저수지는 인력'예산 문제로 방치되기 쉽다는 우려도 드러냈다.

한편 농식품부는 지진 발생 직후 경주 인근 저수지를 중심으로 긴급 점검을 시행한 결과 안전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