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MRI·CT와 달리 초음파 검사는 왜 의사가 직접 할까

영상진단장비 중 자기공명촬영장치(MRI)·컴퓨터단층촬영(CT)·초음파장비 중 주로 의사가 직접 촬영하는 장비는 '초음파'다.

이런 초음파장비는 다른 직종이 아닌 담당 의사에게 받는 게 검사 정확도가 높고 촬영 결과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초음파장비도 더 엄격하게 관리·감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대한영상의학회에 따르면 초음파 검사는 4대 중증질환·산부인과 등 일부 질환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꾸준히 검사 희망자가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초음파장비는 검사자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지만, 만약 검사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결과를 판독하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반해 MRI와 CT는 의료기사 등이 촬영을 하고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초음파 검사는 담당 의사에게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이에 대한 사실을 정확히 알고 있는 국민은 절반을 조금 넘는 데 그쳤다.

영상의학회가 올해 8월 초음파 시행 인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검사 대기 환자 271명을 대상으로 벌인 결과, '간호사나 방사선사가 초음파를 시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답한 비율은 53.9%였다.

'의사가 판독만 한다면 상관없다'(37.6%), '모르겠다'(7%)가 그 뒤를 이었으며 심지어 '의사가 아닌 사람이 판독해도 괜찮다'(1.5%)는 응답도 있었다.

일부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나 방사선사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몰랐다'(55.4%), '알고 있다'(39.1%), '관심 없다'(5.5%) 순이었다.

최준일 영상의학회 보험간사(서울성모병원)는 "초음파와 같은 실시간 검사는 검사와 동시에 의학적 지식에 기반을 둔 판독이 이뤄지는 엄연한 진료행위이므로 반드시 의사에게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외국과 달리 아직 한국은 초음파장비 관리 기준이 '제품등록'에만 초점에 맞춰져 있어 주기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대한초음파학회 표준진료 지침서에 따르면 "장비 관리 체계는 진단 정보의 질을 최고로 할 수 있게 고안돼야 하며 성능도 항상 감시해야 한다"고 규정했지만, 실제 의료기기법으로는 미비한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최 보험간사는 "'의료기기에 관한 규칙에 따른 기준 및 시험방법'을 보다 강화, 국민이 안전하고 정확한 초음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장비 유지에 대한 품질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초음파 시행 의사의 실력을 높일 수 있게 의대에서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