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2일과 19일 경주에서 규모 5.8을 비롯한 대형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기 1∼2일 전 주변 지하수 수위에 의미 있는 변화가 있어 향후 지진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상용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경북 경주시 산내면에 있는 지하수 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달 11∼12일 사이와 16∼17일 사이에 수위가 평소보다 크게 상승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관측소는 전국에 있는 300여 개 관측소 가운데 진앙인 경주시 내남면에서 가장 가까운 곳이다.
관측자료에 따르면 지난 11일 지표면에서 179㎝ 아래에 있던 암반 지하수가 12일에는 130㎝ 지점까지 올라왔다.
하루 사이에 수위가 49㎝ 상승한 것이다. 12일 이곳에 내린 비의 양은 14㎜에 불과했다.
같은 관측소에서 강수량 90.5㎜를 기록한 이달 3일에 상승한 수위(38㎝)를 초과했다.
12일 오후 7시 44분 경주 남남서쪽 8.2km에서 규모 5.1 전진이 일어난 뒤 오후 8시 33분 그보다 남쪽인 남남서쪽 8.7km에서 규모 5.8 본진이 일어났다.
이 여파로 13일 수위는 지표면 아래 91㎝ 지점까지 올라갔고, 16일 지표면 아래 81㎝ 지점까지 올라가는 등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렸다.
그러나 강수량이 25.6㎜에 그친 17일 지하수 수위는 갑자기 지표면 아래 40㎝ 지점까지 무려 39㎝ 올라갔고, 비가 내리지 않은 18일에는 지표면 아래 38㎝ 지점으로 상승했다.
19일 오후 8시 33분께 경주 남남서쪽 11㎞에서 규모 4.5 지진이 발생했다. 이날 수위는 지표면 아래 31㎝ 지점까지 상승했다.
이후 수위는 큰 변화 없이 미세하게 내려가 23일에는 지표면 아래 36㎝ 지점에 머물렀다.
정상용 교수는 "지진에 앞서 암석에 강한 압력이 가해져 지하수 수위가 많이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면서 "규모 4.5 이상의 지진에만 영향을 받았고, 그 사이에 있었던 작은 규모의 여진에는 파장이 없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강한 지진에 앞서 지하수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잇따라 나타난 만큼 지진예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 하려면 현재 1시간 단위로 하는 측정을 분 단위 또는 초 단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진앙이 점차 남남서쪽으로 이동하는 만큼 단층대를 따라 지하수 관측소를 추가로 설치하고, 특히 원전 밀집지역에는 관측소를 반드시 둬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함세영 부산대 지질학과 교수는 "미국과 일본 등 외국에서는 지진이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있었다"면서 "지하수 수위로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얘기"라고 말했다.
함 교수는 "지하수가 어떤 암석에 둘러싸여 있느냐 등에 따라 지진에 앞선 압력이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면서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고 수위 상승이나 하강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비정상적인 변화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