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모병제·핵무장 정책 두고 설전…자기 색채 뚜렷한 새누리 잠룡

토론회·SNS 통해 의견 드러내…반기문 독주 정권 재창출 의문

새누리당이 내년 대선을 1년여 앞두고 잠재적 대권 주자들 간 '상호 검증'에 불이 붙는 모습이다.

잠룡들은 구체적으로 성안된 공약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언론 인터뷰, 강연'토론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정책적 견해를 주고받고 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들고나온 모병제 전환이 대표적인 예다. 남 지사는 지난 5일 국회 토론회에서 대선에 출마할 경우 모병제를 공약으로 삼겠다고 공론화했다. 그러자 유승민 의원이 이틀 뒤 한림대학교 강연에서 모병제에 대해 "정의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자신의 정책 구상을 관통하는 '정의' 개념으로 비판한 것. 또 김무성 의원이 '전문 직업군인 확대'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원유철 의원이 "시기적으로 적절치 못하다"고 지적하는 등 모병제는 한동안 논란의 중심에 섰다.

북한의 핵실험에 따라 핵심 이슈로 떠오른 '핵무장론' 역시 백가쟁명 대상이다. 안보 문제는 보수 정당 후보로서 거쳐야 할 '필수 과목'이기도 하다. 가장 강경한 목소리를 내는 원 의원은 자체 핵개발을 주창하고 있다. 김 의원은 주한미군 전술핵 재배치와 핵추진 잠수함 도입이 현실적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도입론자인 유 의원은 전술핵 재배치에 찬성했다. 남 지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전술핵 재배치'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증세'복지 논쟁'도 화두다.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논쟁에 불을 지폈던 유 의원은 '중부담-중복지'를 위해 증세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증세가 없다면 복지 확대도 어렵다"고 밝혔다. '감당 가능한 복지'를 위해 증세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언뜻 보기에는 속이 시원하지만 실제로는 나라를 분열시키고 기업을 해외로 쫓아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증세 주장을 정면 비판했다.

남 지사도 "증세 논의에 앞서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각종 공제제도들을 먼저 정리해야 한다"며 세원을 최대한 확보하고 증세를 논의해야 한다는 신중론을 폈다.

최근 야권이 대대적 공세를 펴는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 등 정국 현안에 대해서도 여권 잠룡들은 자신만의 해법으로 색채를 분명히 하고 있다. 오 전 시장은 정권 차원의 적극적인 해명을 주문했으며, 유 의원은 '합당한 팩트(사실관계)' 제시를 전제로 성역 없는 수사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여권에선 이들이 내는 각양각색의 목소리가 '상호 검증' 차원을 넘어 지금까지 야권에 견줘 주목을 덜 받은 대권 경쟁구도를 달아오르게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독주체제'로는 정권 재창출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연말까지는 1997년 '구룡'(九龍) 시절처럼 다자 구도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