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이 1억원 상당의 군비를 들여 맹지(盲地'도로와 연결되지 않은 땅)인 군청 간부 직원 땅에 길을 내준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길옆에서는 최근 울릉도를 강타한 집중호우 때 산사태가 발생, 길을 낸 공사가 산사태에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의혹마저 받고 있다.
울릉군 A서기관은 2012년 11월 울릉읍 사동1리 땅 2천200여㎡를 사들였다. 이듬해 7월엔 이 땅과 인접한 토지 2필지를 각각 200여㎡씩 분할해 추가로 매입했다.
1년 뒤인 2014년 4월 울릉군의 공사가 시작됐다. 길이 100m 구간 경사지에 석축을 쌓아 폭 3.5m의 콘크리트 포장길을 내는 공사. 군도 3호선에서 A서기관이 2012년 사들인 땅까지 이어지는 길이었다.
이 길의 60여m는 울릉군 소유 땅. 나머지 30여m는 A서기관이 2013년 매입한 2필지를 지난다. 결국 A서기관은 이곳에 길이 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길이 지나갈 면적만큼 땅을 잘라 추가로 사들인 것이다.
공사는 2014년과 지난해 하반기 2차례로 쪼개 진행됐다. 2014년 공사는 5천300여만원, 지난해 공사는 3천900여만원으로 지금까지 9천300여만원의 군비가 들어갔다. 수천만원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77m 구간의 콘크리트 포장 공사는 남겨둔 상태다.
공사는 '사동1리 농로 확포장 공사(김○○ 가)'란 이름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실제 '김○○' 씨 집은 이 공사와 아무런 연관이 없는 곳에 있다.
주민들에 따르면 공사 이전 이곳엔 농로가 나 있지 않았다. 기자의 현장 확인 결과, 이 일대에서 농사를 지었던 흔적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인근 한 주민은 "이곳에서 농사를 짓는 모습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고 했다. 결국 울릉군은 1억원이 넘는 주민 혈세로 직원 땅에 길을 내주려 했고, 이를 위해 공사를 나눠 진행하는 꼼수를 부린 셈이다.
이 공사가 이번 산사태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 주민은 "이 길이 시작하는 지점은 예전 군도 3호선 공사 당시 흙을 쌓아 길을 냈던 곳으로 공사가 붕괴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 길 시작 지점 5m 정도는 지난 호우 때 붕괴해 떨어져 나갔고 3m 정도는 아래쪽 토사가 유실돼 콘크리트 포장 부분만 남았다.
이에 대해 울릉군 관계자는 "다소 무리한 부분이 있다"며 특혜를 사실상 인정했다.
앞서 지난해에도 울릉군이 1억원 상당의 군비를 들여 한 경찰 간부가 매입한 땅에 진입로를 내고 옹벽을 쌓아 줘 특혜 논란이 일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