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30년 후엔 대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본지 22일 자 10면 보도)가 제기되면서 젊은 여성들의 지역 정착을 도울 정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32만3천100명)가 20, 30대 여성(31만5천500명)을 앞지르는 등 젊은 여성 인구의 유출이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구는 이미 소멸 단계로 진입한 상태다. 지방 소멸은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젊은 여성 인구의 대도시권 유출이 계속될 경우 향후 30년 내 도시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특히 젊은 여성 인구가 노인보다 적으면 인구 쇠퇴 주의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분류한다.
이처럼 젊은 여성 인구가 적은 데는 출산율 감소와 남아 선호 사상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김한곤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1960년대 6명이던 평균 자녀 수는 2000년대 들어 1명대로 꾸준히 줄어든 반면, 의료기술 발전으로 노인 인구는 크게 늘었다"면서 "1970, 80년대에 남아 선호 인식이 강했던 것도 인구가 쇠퇴하는 데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낮은 임금 수준과 열악한 육아 환경이 여성들을 역외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014년 대구 여성의 실질임금은 월 143만3천원으로 전국 평균(160만3천원)보다 17만원이나 적었고, 서울과 부산 등 7대 광역시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육아 휴직자 성비 평등 수준도 34%로 전국 평균(46.6%)보다 크게 밑돌았다. 여성들이 지역에서 일하며 아이를 키우기 어렵다는 의미다.
대구여성가족재단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가 결혼과 출산을 위한 각종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대구 여성과 관련된 각종 경제 지표는 열악한 상황"이라며 "젊은 여성이 지역에서 취업해 중장기 인생 계획을 짤 수 있도록 장기적 안목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젊은 여성들을 위한 정책 순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보육과 자녀 양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기업을 지역에 유치하는 등 '젊은 여성 인구 1% 증가' 등과 같은 정책적 목표를 정해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