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이뤄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부동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시중은행이 일제히 대출금리를 올린 상태에서 추가 인상이 이뤄질 경우 부동산 시장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은행이 당장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은 낮지만 대내외적 압박을 계속 외면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국내 부동산 시장의 호황을 이끈 가장 큰 요인은 바로 저금리였다. 이 때문에 최근 잇따르고 있는 국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상과 중도금 대출금리 인상에 이어 미국의 금리 인상까지 단행됨에 따라 저금리 시대가 끝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예상도 나오고 있다. 특히 상당액의 대출을 안고 부동산을 구입한 사람들에게는 적은 수준의 금리 인상도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국내 금리 인상 시기와 인상폭 등이 관건이지만 미국 금리 인상 후 국내 금리가 동반 상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금융 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이유로 대출 규제가 대거 강화된 상태에서 금리 부담까지 커지며 주택 구매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했다.
특히 최근 들어 분양권 전매제한 금지 등 부동산 규제와 대출 규제에 이어 금리 인상까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내년 이후 입주 물량 증가로 집값 하락이 예상되면서 공급과잉에 따른 부작용도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금리 인상은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유동성 자산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금리를 올려도 큰 타격이 없고, 오히려 금융소득이 늘어나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신혼부부'사회 초년생'저소득층 등은 금리 인상 탓에 주거비 부담이 커지게 된다.
전문가들은 "대출 레버리지를 많이 이용하는 재건축 등 투자 상품과 상가 등 수익형 투자 상품에 타격이 클 전망"이라며 "분양시장에도 청약자 감소 등 악영향이 우려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