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새누리당 대표가 2일 탈당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전 탈당계를 내면서 "당 대표로서 모든 책임을 안고 탈당한다"며 "당의 화평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30일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친박 핵심 인사들을 '인적 청산 대상'이라고 지칭하며 오는 6일까지 자진 탈당하라고 요구했다. 인 위원장은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자진 사퇴하겠다는 뜻도 함께 밝혔다.
이 전 대표의 탈당은 인 위원장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인적 청산' 문제가 해결될지는 의문이다. 이 전 대표가 탈당하면서 "당의 화평을 기대한다"고 한 것은 인적 청산은 자신의 탈당으로 끝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는 인 위원장의 '인적 청산' 구상에 크게 못 미친다. 인 위원장이 겨냥한 인사는 구체적으로 거명하지 않았지만, 서청원, 조원진, 윤상현, 김진태 의원 등 이른바 '친박 8적'을 포함해 10명 안팎이다.
이들 대부분은 탈당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 친박 좌장인 서청원 의원은 이미 '2선 후퇴'와 '백의종군'하겠다고 했다. 탈당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김명연 수석부대변인도 이 전 대표의 탈당 직후 "(추가 탈당은)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추가적인 탈당 움직임은 없다"고 했다. 이런 움직임에 변화가 없다면 인 위원장도 거취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이 전 대표가 탈당하는 것으로 인 위원장과 친박계의 '타협'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나오지만, 이는 인 위원장이 자기 말을 뒤집어야 한다는 점에서 쉽지 않다. 만약 인 위원장이 사퇴한다면 새누리당의 미래는 더욱 암담해질 것이다. 그 끝은 당의 소멸일 수도 있다.
새누리당은 비박계가 떨어져 나간 후 변화하고 개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변화와 개혁은 말로만 되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공당으로서 국민에게 지금의 사태를 불러온 잘못에 책임지겠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는 변화를 위한 가장 초보적인 전제조건이다. 그런 것 없는 변화와 개혁은 눈속임일 뿐이다. 그런 '제스처'에 국민은 절대 속지 않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친박계 핵심은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깊이 성찰하고 고민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