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치솟는 계란값을 잡기 위해 정부가 일시적으로 수입 계란에 관세를 매기지 않기로 했다. 계란값 급등이 가금류 살처분으로 인한 공급 부족 외에 사재기'매점매석에 따른 것이란 지적이 나오면서 계란 유통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계란값 고공행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가격 공시에 따르면, 특란 한 판(30개)의 평균 소매가는 최초로 AI가 신고된 지난해 11월 16일 5천678원이었다가 3일 8천389원으로 47.8% 올랐다. AI 발생 48일 만에 계란 한 판 가격이 1.5배가 된 셈이다. 이는 불과 일주일 전인 지난달 27일(7천940원)보다도 450원 정도 오른 것으로, 계란 가격 상승세는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가격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중'소규모 시장과 일부 마트에선 1만원을 훌쩍 넘는 등 계란 수급 조절과 가격 책정이 사실상 '통제 불능' 상태다.
지난달 28일 계란 유통'가공업체 등을 대상으로 열린 신선란'계란 가공품 수입 지원 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AI 미발생국가인 미국'스페인'캐나다'호주'뉴질랜드의 현지 도매가격(지난달 19일 기준, aT센터 조사)은 계란 1개당 89~172원 수준이었다. 정부가 우선 수입을 고려하는 미국의 경우 153원이었고, 스페인 89원, 캐나다 146원, 오스트레일리아 172원, 뉴질랜드 161원이었다. aT 공시가격(3일 기준, 개당 280원)을 기준으로 하면 국내 계란값의 31~61% 수준이다.
◆수입 계란, 식탁에 오른다
3일(0시 기준)까지 살처분된 가금류는 3천33만 마리다. 산란계(알 낳는 닭)는 2천245만 마리로, 전체 사육량의 32.1%에 이른다. 병아리가 알 낳는 닭이 되기까지 기간을 고려하면 앞으로 6개월 동안은 계란 수급 걱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신선란과 계란 가공품에 붙던 관세를 올해 6월까지 일시적으로 없애기로 했다. 무관세 적용 대상은 신선란, 계란액, 계란 가루 등 9개 품목이며 총 9만8천t까지다. 여기엔 신선란 3만5천t도 포함되는데, 이는 7억 개 정도 물량이며, 국내 소비량 약 20일분에 해당한다.
이번에 적용된 할당관세는 제과'제빵, 가공식품 등에 사용하는 전란(껍데기를 제거한 뒤 흰자나 노른자를 분리해 만든 원료)을 수입하는 데 초점이 있다. 하루 68만t에 달하는 계란 수요 중 20% 정도를 차지하는 가공업체 수요를 수입 가공품으로 대체하면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신선란이 늘어날 것이라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기획재정부는 수입 상황을 지켜보고 필요하면 할당관세 허용 물량을 더 늘릴지, 할당관세 적용을 연장할지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계란 수입 민간업체에 항공료를 50% 정도 지원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이준원 차관은 "설 명절 전 계란값 추이를 살펴본 뒤 신선란 수입 시기 등을 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수출 관련 행정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필요하면 설 전에 수입 계란을 들여오겠다"고 했다.
◆계란값 폭등, 서로 '네 탓'
조절 불가능 단계에 접어든 계란값 급등 문제를 해결하려면 유통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가격 급등의 원인을 놓고 유통상과 농가는 서로를 탓하며 손가락질하고 있다. 일부 중간상인이 물량을 갖고 계란값이 더 오르길 기다리고 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유통단계에서 중간이윤이 붙고 웃돈까지 얹어주니 부르는 게 값이 됐다. 매일 가격이 오르니 대형 도매상이 창고만 있으면 쌓아두고 본다"고 했다.
반면, 유통상은 농가에서 계란을 풀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계란유통협회 관계자는 "수입 등으로 가격 인상 기대가 사라져야 생산자의 비축 물량이 시장에 나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합동단속 결과 AI가 발생한 경기 안성 농가에서 계란을 200만 개를 저장해 놓고 있던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정부는 2일부터 12일간 계란 사재기 등 유통실태에 대한 2차 합동점검을 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