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부산 소녀상에 본색 드러낸 日…주한 대사·부산 총영사 일시 소환

통화스와프 협상 중단 '관계 경색'

2015년 12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이후 개선 무드 속에 있던 한일 관계가 지난해 말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 문제로 두 나라가 사실상 정면충돌, 한일 관계 전체가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일본은 6일 부산총영사관 앞의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와 모리모토 야스히로(森本康敬) 부산총영사를 일시 귀국시키기로 했다.

일본 측은 현지시간으로 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일 외교차관회담에서 소녀상 철거를 주장했으나, 답을 얻지 못하자 6일 주한대사와 총영사 일시 소환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으로 보인다. 주재국 대사의 일시 귀국은 최고 수준의 외교적 항의 조치다. 일본 측은 이에 더해 현재 양국 간 진행 중인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을 중단하고, 한일 고위급 경제협의도 연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일 관계는 당분간 경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부는 이날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일본 측의 조치에 유감을 표명하는 한편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한일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나가미네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초치했다. 이날 면담은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시민단체가 설치한 위안부 소녀상에 반발해 일본 정부가 일본대사와 부산총영사를 일시 귀국시키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윤 장관은 우리 정부가 아닌 시민단체가 소녀상을 설치했다는 설명과 함께 소녀상 문제가 한일 관계 악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하면서 현 상황을 관리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정부 당국자는 일본 측의 주한대사 소환 조치 등에 대해 "소녀상 반발에 대한 국내 여론을 의식한 측면이 있다"면서 "일본 측이 취한 조치도 상징적 성격이 강하고 양국 관계에 실질적 영향을 주는 성격은 아니다"고 말했다. 냉각 상황이 장기화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문제는 소녀상 문제의 인화성이 워낙 크다는 점에서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 정치 상황의 불안정성은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행보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