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어르신 수상(隨想] 슬픈 쑥떡

"허허 천벌을 받겠어, 천벌을. 쯧쯧."

환경미화원의 혀 차는 소리가 들린다. 마을 입구 쓰레기장에는 쑥떡이 버려졌다. 노란 콩고물을 묻힌 쑥떡이다. 그 옆에는 노끈이 풀어진 허접스러운 택배 상자도 보인다. 누군지는 모르지만, 시골 노부모가 보낸 쑥떡을 통째로 내다 버린 모양이다. 언젠가 모임에서 "요새 젊은이들은 촌에서 보낸 음식물은 뜯어보지도 않고 쓰레기통에 버린다"는 말을 들은 적은 있지만 이렇게 눈으로 보기는 처음이다.

어릴 적 보리누름 무렵이면 시골에는 누구네 집 할 것 없이 먹을 것이 부족했다. 점심 한 끼 정도는 거무칙칙한 쑥떡이나 개떡으로 때웠다. 오죽했으면 주고받는 인사도 '식사하셨어요'나 '점심 먹었는가'였을까.

아지랑이 가물가물 피어오르는 봄날이면 바구니를 옆에 낀 어머니들은 쑥이나 냉이를 캐러 다녔다. 어린 자식 굶기지 않으려고 아등바등하던 어머니 얼굴에는 늘 부황(浮黃)이 나 있었다. 불과 삼사십 년 전 우리 부모님들은 이렇게 고된 삶을 이어 왔다. 아무리 먹을 것이 풍족하고 인스턴트 식품에 길든 젊은 세대지만, 늙은 부모님의 정성이 담긴 쑥떡을 쓰레기장에 버리다니,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문득 몇 해 전 체조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딴 양학선 선수가 생각난다. '도마의 신(神)'이라 불리는 양 선수 부모는 비닐하우스를 개조한 집에서 살고 있었다. 공사장 미장 기술자였던 양 선수 아버지가 수년 전 어깨를 다쳐 일을 못 하자, 도회지에서 산골 마을로 이사를 왔다. 양 선수는 효자다. 태릉선수촌에서 하루 4만원씩 받는 훈련비를 모아 하우스 단칸방에 사는 부모에게 매달 80만원씩 보냈다고 한다. 이십 대 초반의 젊디젊은 나이에 그런 효심이 있다니. 지옥 같은 훈련을 받으면서도 고향의 부모님을 생각하다니. 지금 생각해도 눈물이 난다. 양 선수의 금메달이 확정되던 날, TV 앞에서 덩실덩실 춤을 추고 있는 양 선수 어머니에게 기자가 마이크를 들이댄다.

"아들이 오면 제일 먼저 해 주고 싶은 것은?"

"아들에게 제일 먼저 뭘 먹일까. ○○○라면입니다."

울면서 대답했다. 고기도 아니고 그 흔한 라면이라니.

쓰레기장에 버려진 저 쑥떡,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시골집 툇마루에서 할머니의 사랑을 듬뿍 받던 쑥떡일 게다. 그 가파른 보릿고개를 넘은 사람이라면, 라면을 아들에게 먹이고 싶다는 양 선수의 어머니라면 감히 쑥떡을 버릴 생각이나 했을까. 시골 부모님의 살뜰한 정을 쓰레기장에 내다 버린 어느 젊은 새댁도 양 선수 어머니의 울음 섞인 '○○○라면' 소리를 들었을까.

쓰레기장에 버려진 저 쑥떡, 참 슬퍼 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