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세안, 트럼프 보호무역주의'남중국해 '강공'탓 中에 더 기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출범으로 동남아시아 안보'경제 지형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미국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관련, 중국에 대한 강경 대응 방침을 천명했다.

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선언하며 보호무역주의의 깃발을 올렸다.

이들 모두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과 직결된 사안으로, 10개 아세안 회원국은 득실 계산과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중국의 남중국해 점거를 용납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앞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내정자는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중국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미국의 새 행정부가 남중국해 사태에 대해 '강경 모드'를 예고했지만, 친중 성향이 짙어진 아세안의 협력을 얼마나 끌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남중국해 문제를 놓고 미국, 일본과 함께 '끈끈한' 반중 연대를 형성한 필리핀은 작년 6월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 취임과 함께 친중 노선으로 선회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미국과의 남중국해 합동순찰을 중단하고 합동 군사훈련도 축소했다.

최근 델핀 로렌자나 필리핀 국방장관은 아세안이 미국, 중국, 일본 등 강대국의 대결 무대가 돼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아세안의 독립성을 강조했지만,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 대한 미'일의 개입 반대와 당사국 간 해결을 주장하는 중국의 입장과 일맥상통한다.

베트남도 중국과 남중국해 영유권을 다투지만, 공격적인 대응은 자제한다. 베트남의 권력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은 이달 중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리커창(李克强) 총리 등을 만나 남중국해 긴장 고조 행위를 하지 않고 근본적이며 장기적인 분쟁 해결 방안을 찾기로 합의했다.

아세안 회원국 가운데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전통적인 친중 국가로 남중국해 사태와 관련, '3자 개입'에 반대한다. 나집 라작 총리의 비자금 스캔들로 미국과 불편한 관계에 있는 말레이시아는 최근 들어 중국에 밀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남중국해 분쟁에 대한 미 행정부의 대중국 강경책은 아세안 국가들의 동조를 얻지 못하는 대리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의 TPP 탈퇴는 아세안 경제의 중국 의존도를 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2개 TPP 참여국 가운데 아세안 회원국은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 4개국이다. 미국이 빠지는 자리에 중국을 합류시키자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TPP의 대안으로 중국이 주도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