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車부품업체로 번지는 '사드 불똥'…대구·中 기업 합작 법인

사드 결정 후 투자 미뤄, 지역 중소기업 '불안감'

사드 여파는 지역 주력산업인 자동차 부품업계로도 번질 조짐이다.

대구 자동차 부품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올 상반기 중국에서 판매할 예정이던 '쏘나타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중국 측의 전기차 배터리 기준 강화로 현지 판매에 차질을 빚게 됐다는 얘기가 나온다.

지난해 11월 중국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기준을 연간 생산능력 2억와트시(Wh)에서 80억Wh로 40배 높이는 바람에 현대차가 국산 배터리 생산업체에서 중국 현지 업체로 바꾸는 것을 검토한다는 것. 이에 대해 대구 한 자동차 부품업체 A사 관계자는 "혹시라도 대금 결제가 늦어지는 건 아닐지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투자 계획이 무기한 늦춰지기도 한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중국 현지 법인에 납품하던 대구 B사는 중국 중소 부품기업과 공동 투자해 합작 법인을 설립하려던 계획이 반 년가량 밀리는 피해를 보고 있다.

B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중국에서 대형 자동차 부품을 즉시 제조, 납품하면서 제조 원가를 줄일 계획이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10월쯤에는 법인 설립을 마칠 예정이었다.

그러나 B사와 합작 예정이던 중국 부품업체는 사드 배치가 결정된 후로 투자 시기를 미루고 있다. 자동차 관련 기업은 중국 정부가 제조사 승인을 내려주지 않는 한 사업을 펼칠 수 없는데 한국 자본이 투입되면 사업 승인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B사 관계자는 "다행히 완성차 업체가 우리 업체의 중국 진출을 필요로 하는 만큼 언젠가는 기다리던 때가 올 것이라고만 믿고 있다"고 말했다.

고무 부품을 생산하는 C사와 전선류를 생산하는 D사는 앞으로 다가올지 모를 피해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중'대형 부품을 수출 상대국 현지에 진출한 업체가 만드는 것과 달리, 소형 부품은 국내 중소업체가 생산해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는 형태로 상대국에 간접 수출하곤 했다. 그러나 중국이 사드 경제보복과 보호무역정책을 강화하면 국내 완성차 업체가 수출용 소형 부품까지 현지 생산으로 전환할 수도 있어 근심이 크다.

두 업체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제조사의 제조 능력 검증 기준을 엄격히 강화한다고 한다. 대량 생산이 어려운 소규모 업체는 소외될 것이 분명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