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들의 홈페이지 보유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OECD의 디지털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기업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61.3%로 비교 대상 33개국 중 헝가리와 함께 공동 28위에 그쳤다. 이런 수준의 기업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OECD 평균(76.2%)보다 현격히 낮은 것이다.
이 조사는 종업원 10명 이상인 제조업과 비(非)금융 시장 서비스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기준 시점보다 5년 전인 2009년 한국 기업의 홈페이지 구축 비율은 59.7%로 비교 대상 32개국 중 24위였고, 당시 OECD 평균은 69.3%였다.
OECD 평균이 급속히 오른 5년간 한국은 거의 제자리걸음이어서 순위가 더 떨어졌다.
2014년 기준 한국 기업의 홈페이지 구축 비율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종업원 수 10∼49명인 기업 58.0%, 종업원 수 50∼249명인 기업 77.7%, 종업원 수 250명 이상인 기업 87.7%였다. OECD 평균은 각각 72.6%, 87.7%, 93.6%였다.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나 통신서비스의 속도는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ICT를 비즈니스에 실제로 활용하는 정도를 보여 주는 기업의 홈페이지 보유 비율은 오히려 매우 낮은 편이라는 얘기다.
한 소프트웨어개발 중소기업 대표는 "우리나라에서 비즈니스는 직접 방문이나 전화로 하는 것이며, 이메일로는 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매우 강하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홈페이지가 실제로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고, 만들었더라도 관리를 잘 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