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 도읍 발판 삼아 약진하는 경북] <1> 지역균형, 경북을 넘어 한반도 허리권 변화

신도청 1년 '한반도 황금허리' 중추도시 기반 마련

경북도는 2006년 김관용 도지사 취임과 도청 이전 공약 이후 10여년 만인 지난해 2월 안동
경북도는 2006년 김관용 도지사 취임과 도청 이전 공약 이후 10여년 만인 지난해 2월 안동'예천 새 둥지로 이사했다. 신경북도청 시대는 경북의 균형 발전은 물론 대한민국 허리 경제권을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하면서 지역을 기반으로 한 국가 경제의 새 틀을 짤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다. 사진은 지난해 2월 19일 열린 '새 천년 경북시대 개막! 신도청 이사기념행사'. 경북도 제공

지역균형, 경북을 넘어 한반도 허리권 변화

국가 경제 새 틀 짜는 한반도 허리 경제권

경북 균형 발전, 4대 권역별 핵심 프로젝트

경북 문화'관광'정체성 이끄는 신경북도청

경북의 미래 청사진 만드는 도청 신도시

지난해 12월 28일 경북도청 화백당. 300여 명의 도청 직원들은 '신청사에서 첫해! 직원 송년 만남의 날' 행사를 가졌다. 이날 직원들은 연초 먼지 머금은 찬바람만이 쌩쌩 부는 허허벌판 신도시에 덩그러니 들어선 도청 신청사로 이사해 와 부족하고, 힘들고, 불편한 1년의 시간을 감내하면서 숨 가쁘게 달려온 데 대한 대견함과 고마움으로 서로 격려했다. 가족들과 떨어져 생활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이들은 '도민의 뜻을 잘 받들어 더욱더 도민 행복을 챙겨가자'는 각오로 신명나게 일해 왔다. 이날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 1년여 동안 도청 이전으로 업무 환경과 생활의 변화 속에서도 뚜벅뚜벅 도민의 행복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늘 밝은 모습으로 도정을 함께해 고맙다"고 했다.

경북도청은 지난해 2월 12일부터 새 둥지로 이사를 시작해 오는 3월 10일이면 개청한 지 1년을 맞고 있다. 갈등과 우려 속에 이전된 경북도청 신청사 시대 1년의 효과를 5회에 걸쳐 짚어본다.

◆경북도청 신청사 개청 1년

경북도청 이전 문제는 2006년 김 도지사 취임과 도청 이전 공약으로 급물살을 탔다. 경북도는 '도청이전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고, 2008년 6월에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접경지역을 도청 이전지로 결정했다.

35년의 우여곡절을 겪었던 도청 이전 문제를 초선의 김 도지사는 '지역균형 발전'이라는 명분으로 취임 2년여 만에 매듭지었다. 도청 신청사는 2011년 10월 6일 신도시 조성으로 새 터를 잡아 착공했다. 도청 이전 공약과 지난해 새 둥지에 입주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은 10년이었다.

경북도청은 지난해 2월 12일 도민안전실'문화관광체육국'지역균형건설국 등을 시작으로 1주일여 만에 안동'예천 신청사로 이사했다. 1천500여 명의 직원들도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각오를 다져야 했다.

1314년 고려 충숙왕 원년 경상도를 개도한 지 702년, 1896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경상북도를 개도한 지 120년, 1966년 대구시 산격동으로 청사를 이사한 지 50년 만에 새로운 터전으로 옮겼음을 알렸다.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란 명칭으로 대구에 둥지를 튼 지 120년 만에 새집을 지었다. 1966년 포정동(현 경상감영공원)에서 현 청사가 있는 산격동으로 옮긴 지 50년 만이고, 1981년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 분리된 지 35년 만에 제자리로 되돌아왔다.

◆경북의 정체성'문화'역사 제자리 찾은 도청

경북도청 이전은 단순한 소재지의 변경을 넘어 경북의 정체성, 경북의 문화, 경북의 역사에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경북도청이 '경상북도'라는 주소지를 갖게 되면서 우리나라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었던 소재지와 관할구역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해냄으로써 도민의 자존을 회복하고 경북의 정체성을 바로잡게 된 것.

무엇보다 도청 이전은 동남부와 중부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북부지역 발전의 획기전 전환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90년대 중앙정부의 선택과 집중에 따른 불균형 발전 전략으로, 포항과 구미 등 동남'중부권역은 다양한 국책사업 유치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이들 지역에는 일자리가 늘어나면서 인구가 크게 증가한 반면 농업을 근간으로 한 북부지역은 극심한 이농 현상으로 매년 인구 감소라는 악재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문제를 경북도청 이전을 통한 경북지역 균형 발전이 가능하게 됐다.

경북도청 이전은 단순한 청사 이전이나 공무원들의 사무 공간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행정과 문화, 역사와 혼이 함께 옮겨진 경북의 정체성을 되찾아가는 의미로도 평가되고 있다.

지난해 2월 19일 이사 마지막 날 신청사 앞마당에서 열린 '새 천년 경북시대 개막! 신도청 이사기념행사'에서 김 도지사는 "경북도청이 도민의 품으로 돌아와 벅찬 감동을 느낀다. 이제 전 도민의 에너지를 하나로 모으는 대통합의 시대로 가야 한다. 신도청 시대의 새로운 역사를 활짝 열고, 세상의 중심에 우리 경북을 우뚝 세워나가도록 함께 매진하자"고 강조했었다.

◆경북 균형 발전 넘어 한반도 허리 경제권 변화

경북도는 도청 이전 이후 경북도 5대 핵심과제로 '한반도 허리 경제권 육성'과 '경북도 권역별 균형 발전 전략'을 가장 먼저 꼽았다. 한마디로 경북도청 이전 의미를 경북의 균형 발전을 뛰어넘어 한반도, 대한민국 국가 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는 효과를 담아낸 것.

특히, 한반도 허리 경제권은 지난해 3월 10일 경북도청 신청사 개청식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이 언급,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사업의 구체적 실현 계획 추진에 팔을 걷어붙여 왔다.

박 대통령은 "경북도청 신청사를 중심으로 환동해권과 환황해권을 하나로 잇고, 수도권과 남부경제권을 연결하는 '한반도 허리 경제권'을 활성화시켜 나간다면, 사통팔달의 강력한 '동서 성장축'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경북이 창의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해 국가 경제의 새로운 발전을 선도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경북도는 신도청 시대를 맞아 권역별 전략사업 추진을 통한 경북 균형 발전에 집중하고 있다. 동해안권 발전 전략인 '경북 신(新)이니셔티브(계획)', 서부권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소재', 남부권은 '경북 창의지식 서비스벨트 전략', 북부권은 안동과 예천에 도청이 이전해 들어옴으로써 새로운 도약을 꾀하고 있다. 도청 신도시를 한반도 황금허리 중추도시로 탄생시킬 미래 프로젝트와 지역 경제의 새로운 심장이 될 미래생명 국가산단 조성 등을 통해 미래 농생명 융복합 특구로 북부권을 중점 육성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